당 대표와 맞짱뜨는 원내대표…'3당체제 정국'서 힘 더 세졌다
각각 3일, 4일 치러지는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전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4선의 나경원 유기준 정진석 후보 간 3파전, 더민주는 4선의 강창일 이상민·3선의 노웅래 민병두 우상호 우원식 후보 간 6파전 양상이다.

이렇게 경쟁이 치열한 것은 원내대표의 위상과 역할이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다. 어느 당도 원내 과반을 차지하지 못하는 3당 체제에서 원내대표의 협상력이 정국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 2012년 5월 국회선진화법 시행 이후 여야 합의 없이 법 처리가 어려워져 원내대표의 위상은 더 높아졌다.

원내대표는 16대 국회까지만 해도 원내총무란 이름으로 ‘제왕적 총재’의 대리인에 불과했다. 총재가 원내총무를 임명했다. 대표와 사무총장에 이어 당직 서열 3위였다. 여야 협상은 대표의 직접 지시를 받고 수행했다. 역할이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2004년 17대 국회부터 각 당이 ‘원내정당화’를 표방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총재나 대표에 집중됐던 정책 결정권과 협상권이 원내대표에게 대폭 넘어갔다. 의원들이 직접 원내대표를 선출했다. 대표가 법적·대외적으로 당을 대표하고, 원내대표는 국회 운영에 관한 책임과 권한을 갖게 됐다. 상임위원회 배분과 의원회관 사무실 배치도 원내대표 몫이다. 명실상부한 당 대표와 원내대표의 ‘투톱 체제’가 정착됐다. 그러다 보니 당 대표와 원내대표 간 힘겨루기가 발생하기 일쑤다. 계파가 달랐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원유철 원내대표 체제와 더민주 문재인 대표-이종걸 원내대표 체제에서 갈등이 적지 않았다.

원 원내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주장한 김 전 대표에게 ‘반기’를 들었다. 그는 4월 총선 공천 과정에서 인재 영입을 반대한 김 전 대표를 정면 비판하기도 했다. 원 원내대표는 2일 고별 기자간담회에서 “공천 갈등을 봉합하려 했던 나의 힘든 노력이 순간순간 수포로 돌아가고 성과를 못 낼 때 가장 고통스러웠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초 당시 안철수 더민주 의원이 ‘문재인 사퇴와 혁신 전당대회 개최’를 주장했을 때 이 원내대표는 “문 대표가 당을 독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충돌했다. 이 원내대표는 보름 이상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하는 등 갈등이 커졌다.

정치권 관계자는 “새로 선출되는 여야 대표의 역할이 내년 대선에 맞춰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박근혜 정부 임기 말 현안에 대한 원내대표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영식 선임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