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연료서 고체연료로 전환…한국과 일본 목표물 타격 가능"
"30㎞만 비행해도 탄도미사일 실험은 성공적… 발사속도 음속 초과"


북한이 지난 23일 동해에서 한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KN-11·북한명 '북극성-1') 발사 실험이 나름대로 성공적이었으며 2020년에 이르면 실질적 위협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북한 미사일 전문가인 미국 에어로스페이스의 존 실링 연구원은 25일(현지시간) 미국의 북한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에 기고한 글에서 "북한의 SLBM이 작전 환경에서 신뢰성 있게 운용되는 방향으로 기술적 진전을 보고 있음이 확인됐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실링 연구원은 "이번 SLBM 발사 실험은 북한이 과거 네 차례 실험에서 실패한 액체연료 추진시스템을 포기하고, 보다 강력한 고체연료 추진시스템으로 전환했음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실링 연구원은 "북한이 개발한 새로운 디자인은 아직 초기 단계이고 전면적 동력기 개발을 비롯해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면서도 "그러나 2020년에 이르면 실전배치 준비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실링 연구원은 "한국의 군 소식통들은 이번 SLBM이 30㎞를 비행하는데 그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지만, 30㎞만 비행해도 탄도미사일 실험은 성공적인 것"이라며 "뿐만 아니라 발사속도가 음속을 초과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는 1단계 SLBM 미사일로서는 기술적으로 어려운 부분"이라며 "일단 성공했을 경우 미사일은 연료가 떨어질 때까지 추진될 수 있고 동력을 쓰지 않은 채 최대 사거리까지 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미사일이 30㎞를 비행했다면 이것은 30㎞까지만 날아갈 수 있도록 연료를 채웠기 때문일 수 있다"며 "이미 네 차례 SLBM 발사에 실패한 북한으로서는 연료를 완전히 채웠다가 실패하는 상황을 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링 연구원은 그러나 북한이 액체연료 추진시스템 대신 고체연료 추진시스템을 적용하면서 SLBM의 사거리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실링 연구원은 "고체연료 추진시스템의 사거리는 900㎞에 불과해 1천600㎞에 달하는 액체연료 추진시스템보다 짧다"며 "뿐만 아니라 액체연료는 고체연료에 비해 훨씬 가볍고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사거리가 비록 900㎞에 불과하더라도 이는 미국과 동북아 동맹들에게 위협을 가하기에 충분하다"며 "한국의 전부를 사정권에 둘 뿐만 아니라 동해 밑으로 내려갈 경우 일본의 어느 곳도 타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만일 북한 잠수함이 동해에서 벗어나 괌이나 하와이의 1천600㎞ 이내로 진입한다면 추가로 700㎞의 사거리를 더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링 연구원은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고체연료로 추진되는 북한의 SLBM은 더욱 신뢰성을 갖추게 될 것"이라며 "이번 미사일이 잠수함에서 발사됐든, 수중 바지선에서 발사됐든지간에 북한은 SLBM을 30㎞를 비행시킬 수 있는 실험능력을 확보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rh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