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김무성 비판론' 비등

20대 총선이 새누리당의 '참패'로 끝나면서 김무성 대표의 정치적 입지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16년 만에 여소야대 구도가 형성되는 최악의 성적표를 받게 됨에 따라 총선 사령탑으로서 책임을 면키 어렵게 됐기 때문이다.

총선 이후 '대권 모드'로 전환이 점쳐졌지만 이도 여의치 않게 됐다는 분석이다.

김 대표는 지난달 관훈클럽 토론회를 통해 선거가 끝나면 승패에 관계없이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언급에 대해 총선 후 친박(친박근혜)계의 공천 파동 책임 공세를 피해가는 동시에 대권 도전에 본격 나서려는 포석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이번 총선 결과로 전혀 다른 상황을 맞게 됐다.

총선 참패 책임의 상당부분을 떠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는 것이다.

특히 김 대표는 이번 총선에서 친박계의 반발을 무릅쓰고 배수진을 치고 '상향식 공천'을 상당부분 관철했으나 결과적으로 총선참패의 한 요인이 됐다는 지적이다.

상향식 공천 과정에 현역 의원 프리미엄이 유지돼 이들이 대거 재공천 되면서 정치권 물갈이를 바라는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벌써부터 친박계로부터 나오고 있다.

여기에다 김 대표는 공천 국면 막판에 '옥새 전쟁'을 벌이며 당내에 논란을 일으켰고, 서울 은평을과 송파을, 대구 동을 3곳에 새누리당 후보를 내지 않는 극단적 선택도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당내에서는 총선 참패의 책임을 놓고 '김무성표 현역 기득권 공천'이냐, '친박표 패권 공천'이냐를 두고 논란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로서는 친박계와 다시 정면 충돌할 수 있는 외통수에 놓일 수 있으나 '패장'이라는 주홍글씨가 운신의 폭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다.

총선 정국 이후 펼쳐질 당권경쟁 국면도 김 대표의 입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주류 친박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당내 기반이 약화된 김 대표로서는 대권가도에서 탄력을 받기 위해선 차기 지도부의 지원이 필요하나 비박(비 박근혜)계에 이렇다 할 당권주자가 없다는 점이 고민거리다.

이에 따라 김 대표가 이번 전당대회에서 '1인2표제'를 활용해 비박계 후보군의 지도부 진입을 지원하면서, 유력한 일부 친박계 당대표 후보와 제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오나 쉽지 않은 길이다.

(서울연합뉴스) 류미나 기자 minary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