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분야선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이전 이슈 선점 경쟁
"승패에만 눈멀어 정책대안 제시는 소홀" 지적도

4·13 총선을 13일 앞두고 광주에서도 정당별로 조직·공약에 대한 막바지 정비에 들어갔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야권 심장부를 거머쥐기 위한 혈투를 벌이는 가운데 새누리당, 정의당, 민중연합당, 민주당, 무소속할 것 없이 후보들은 이슈 선점에 나섰다.

야권은 한목소리로 정권교체를 총선 화두로 내세웠다.

다만 방법론은 정당 이해관계에 따라 극명히 갈린다.

더민주는 '수도권에서 절대 열세인 국민의당으로는 대선 승산이 없다'며 자신들이 정권교체 주도세력임을 부각하고 있다.

더민주 탈당, 야권연대 거부 등을 이유로 "4월 13일은 야권 분열세력을 심판하는 날"이라고 국민의당을 견제했다.

국민의당은 최근 선거에서 잇따른 패배의 책임을 강조하며 야권 재편론을 내세워 당과 광주가 주도하는 정권교체를 역설하고 있다.

제 1야당 심판과 야권 재편을 전제로 한 정권교체라는 단계적 접근방식이다.

선거 정국 내내 팽팽했던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광주 민심 대변자의 계보를 이을 정당이 어느 쪽인지도 총선이 끝나면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역에서 양강구도를 굳힌 두당 모두 지역민에게 확실한 비전을 보이지 못했다는 비판적 평가도 나온다.

더민주는 김종인 비대위 대표의 국보위 참여 전력이나 '셀프공천' 논란 등으로, 국민의당은 야권연대를 둘러싼 지도부 갈등과 경선 잡음 등 신생정당의 한계를 드러내면서 지역 민심을 잃었다.

정의당, 민중연합당은 청년, 노동자 등 서민을 위한 정책 선명성으로 빈틈을 노린다.

정의당은 노동친화적인 자동차 100만대 도시 조성, 기초과학 인재양성, 인권전문대학원 설립, 지역문화예술인 창작·주거·생계 지원, 비정규직 없는 광주 등 지역 공약을 제시했다.

민중연합당은 등록금 100만원 상한제, 해고방지법 제정, 농민수당 연 240만원 지급 등 생활공약으로 유권자의 표심을 자극했다.

야권 공세에 고군분투 중인 새누리당은 '예산 폭탄'을 무기로 1석 당선을 목표로 뛰고 있다.

경제 분야에서는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생산라인 이전 대책이 정당별 지역 공약에 단골처럼 등장하는 핵심 이슈 중 하나다.

사업장이 있는 광주 광산을에 출마하는 더민주 이용섭 후보, 국민의당 권은희 후보 간 줄다리기가 치열하다.

이 후보는 삼성전자 상무 출신 양향자(서을) 후보와 '콤비 플레이'에 나섰다.

이 후보는 삼성전자 임직원, 고용노동부 장관, 중소기업청장과 잇따라 면담했으며 양 후보는 별도로 '친정'인 삼성전자 광주사업장을 찾아 임직원과 대책을 논의했다.

양 후보는 광주시가 가전·자동차 사업을 연계해 3조원대 미래 자동차 투자유치, 2만개 일자리 창출 공약을 내걸었다.

권 후보는 당 차원의 전폭적 지원을 등에 업었다.

국민의당은 삼성전자 생산라인 이전과 관련, 권 후보의 제안을 받아들여 총선이 끝나면 협력업체보호법 제정을 당론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광주시가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사활을 건 자동차 100만대 생산기지 조성 사업은 초당적 협력을 보장받았다.

여·야, 진보·보수할 것 없이 대다수 정당, 후보들이 공약에 포함했다.

에너지밸리, 문화밸리 조성 등에 대한 지원도 정당별 공약의 공통 분모다.

다만 구체성이나 차별성은 제한적이다.

선거구 획정 지연, 야권 분열에 따른 이합집산 등 영향에다가 승패에만 집착한 탓에 정책에 소홀한 선거가 반복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시민단체 참여자치21 오미덕 공동대표는 "주변에서 최선이 아니라 차악(次惡)을 고르겠다거나 투표를 하지 않겠다는 사람이 많다"며 "이제라도 정당들이 사회적 위기를 극복하는 대안을 마련해 정책에 반영하려는 결연한 의지를 보였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광주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sangwon700@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