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장 인선 또 충돌…'친박 이한구' vs '비박 김황식' 추천說
권한도 친박은 확대, 비박은 축소 대립


새누리당이 금주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이하 공관위)'를 발족키로 한 가운데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계(비박근혜)가 공관위 구성과 역할 규정을 놓고 맞붙었다.

이는 공직후보자의 공모와 심사, 선정 등 공천 전반에 관여하는 공관위의 위원장 인선을 비롯한 위원 구성, 역할을 놓고 두 계파간 생각이 판이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부터 공천룰을 놓고 벌어졌던 계파갈등의 '제2라운드' 격이다.

우선 위원장으로 친박계가 강력히 추천하는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 과외 교사' 이한구 의원을 비박계가 막아서면서 대립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은 지난해 10월 한 MBC라디오 인터뷰에서는 "상향식 공천제로만 가면 19대 의원들이 거의 재선이 되는데 컷오프든 무엇을 하든 전략공천은 불가피하다"라고 밝히는 등 친박계 구상과 일맥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특히 이 의원이 대구 출신이라는 면에서 그를 통해서 영남권 주요 포스트를 '진박'(眞朴)으로 물갈이하는 시나리오를 밀어붙이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게다가 이 의원은 이미 20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기 때문에 명분도 있다.

반면, 비박계에서는 지난 2014년 2월 현재 공관위로의 변경을 골자로 한 당헌·당규 개정특위 위원장이었던 이 의원이 청와대의 입김에 따라 입장을 바꿨다며 비판하고 있다.

대신 비박계는 김황식 전 국무총리를 추대한다는 얘기가 돌았다.

비록 지난 2014년 지방선거에서 친박계의 지원을 등에 업고 서울시장 경선에 출마하기는 했지만 이명박 정부에서 총리를 지내 계파색이 엷고 호남 출신이라는 게 강점이다.

김무성 대표가 청와대에 김 전 총리 카드를 제시했다는 설도 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26일 기자들과 만나 "아직 결정된 게 없고, 따로 (김 전 총리에게) 연락한 적도 없다"면서도 "앞으로 일이 어찌 될지 아직은 생각은 안 하고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김 전 총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전혀 연락을 받은 게 없다"면서 "연락을 받지도 않았는데 이런저런 얘기를 하는 것은 서로간에 예의가 아니다"라고 언급을 삼갔다.

기존의 공천심사위원회가 공관위로 변경된 것은 지난 2014년 6·4 지방선거 공천 때부터였다.

당시 대선 공약 폐기로 논란이 됐던 중앙당의 기초단체장 공천을 유지하면서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하향식 공천을 최대한 억제한다는 원칙에 따라 현역 의원의 공관위 참여를 3분의 1 이하로 제한하는 등 권한과 위상을 대폭 축소키로 했다.

비박계의 한 핵심 당직자는 "이번에는 100% 상향식 공천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공관위의 역할이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공관위는 경선 관리를 하는 데 기능이 국한돼 공천관리위가 아니라 경선관리위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주요 당직을 차지한 비박계는 공관위의 역할을 정치 신인, 여성, 장애인 등에게 주는 경선 가산점을 계산하고, 현장에서 벌어지는 불공정 경선 행위를 감독하는 수준으로 국한하려 하고 있다.

특히 경선에서 '30:70'인 당원과 국민의 참여비율 조정은 후보자간 합의를 우선으로 하고, 공관위의 논의를 거치도록 하되 최종 결정권은 최고위원회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최대한 공관위의 힘을 빼놓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당헌 역시 '중앙당 공관위가 심사한 사항은 최고위 의결을 거쳐 확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이번에는 외부 인사보다는 선거 사정에 밝은 당내 인사를 중심으로 공관위를 꾸려 최고위와 소통하도록 할 방침이다.

그러나 친박계는 공관위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공관위는 우선추천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는 당규도 있다.

이를 근거로 외부 인재영입 방식을 통해 사실상 전략공천의 길을 뚫겠다는 게 친박계의 전략이다.

친박계 중에서도 '신박(新朴)계'로 분류되는 원유철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총선 승리를 위해 좋은 인물들을 후보로 추천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형식과 관련 용어는 별로 의미가 없다"면서 "까만 고양이든 흰고양이든 쥐를 잘 잡는게 최고"라고 말했다.

김 대표가 전략공천에 반대하며 '인재영입' 대신 '인재등용'이라는 단어를 쓰자고 했던 점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류미나 기자 aayy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