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있는 6자' 빨리 하자는 게 우리 입장…中, '의미있는' 단어 싫어해"
"업무보고에도 5자회담 내용 들어가…미·중에도 얘기한 것"


외교부 당국자는 25일 북핵 관련 5자회담에 대해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상황이 더 엄중하게 바뀌었기 때문에 5자협의(회담)를 할 필요성이 더 강해졌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박 대통령의 최근 5자회담을 언급한 것과 관련해 "상황이 바뀌었고, 거기에 맞춰 (대통령께서) 무게를 실어 하이라이트(강조)를 해준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가 5자협의를 더욱더 열심히 추진해야 한다는 뜻"이라면서 "그것이 중국과 러시아, 특히 중국에 대한 메시지도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5자회담을 처음으로 언급한 데 이은 외교부 당국자의 이날 발언은 중국에 대한 거듭된 압박으로 풀이된다.

이 당국자는 그동안 5자회담이 성사되지 않은 것에 대해 "북한을 더 자극해 6자회담 재개 환경이 더 어려워질 것을 염려해 중국과 러시아가 하고 싶지 않아 했고, 지금까지 안 해온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진지한 의미에서의 비핵화 협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압박을 강화해야 하며, 이에 중국이 동의한다면 5자 협의에 대해서도 더 전향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6자회담에 대해 "우리의 주요 관심은 북한의 비핵화이고, 이를 위한 의미 있는 6자회담을 빨리 했으면 좋겠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라면서 "북한이 회담의 목적과 관계없는 한미군사훈련 등 다른 얘기를 하면 북한의 선전장이 되니 그렇게는 못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의 5자회담 언급에 대해 중국 훙레이(洪磊) 외교부 대변인이 조속한 6자회담 개최를 주장한 것에 대해서는 "그것은 (중국 측으로부터) 내내 들었던 얘기"라면서 "너무나 당연한 얘기인데, 중국 측은 (6자회담과 관련) '의미있는' 이라는 단어를 붙이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당국자는 박 대통령이 6자회담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 데 대해서는 "6자회담이 8년째 열리지 못하고 있다"면서 "6자회담이 실효성이 없는 것은 기본 팩트 아니냐"고 말했다.

또 박 대통령이 외교부와 조율 없이 5자회담을 언급한 것 아니냐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는 "(언론에) 배포한 자료에는 5자회담 내용이 빠졌지만, 보고자료에는 5자회담 얘기가 들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5자회담과 관련해 미중과의 사전 조율 여부에 대해서도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최근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부장관을 만났을 때와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최근 베이징에서 우다웨이(武大偉) 중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와의 면담 때 5자회담 얘기를 했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과 미국은 그동안 몇 년간 일관되게 5자 협의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해왔다"고 말했다.

6자회담 틀 내에서 북한을 제외한 한미일중러 5개국이 모여서 협의한 사례는 6자회담이 중단되기 이전인 지난 2008년 6월 한 차례 열린 것이 전부다.

비핵화 진전에 따라 북한에 제공될 경제·에너지 지원 문제를 다루는 6자회담 산하 경제·에너지협력 실무그룹이 공여국인 5자의 차석대표급 협의를 의장국인 한국 주재로 서울에서 연 것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당시 사례를 언급하며 "중국, 러시아가 응한 이유는 대북 에너지 지원을 하는 실무그룹이었기 때문"이라며 "이때부터 계속 5자 협의를 하려고 했지만 이후 한번도 (성사)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김효정 기자 lkw77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