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방송 중단 이끈 뒤 11년만에 다시 틀게 만든 장본인
2006∼2007년 한민구·정승조 당시 정책기획관과도 협상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작년 말 사망한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의 후임으로 군부 강경파로 꼽히는 김영철(70) 북한군 정찰총국장을 임명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현역 시절 김영철과 수차례 협상을 벌였던 전직 대북 협상 전문가는 18일 "김영철은 화전양면에 능통한 협상의 베테랑"이라고 평가했다.

대북 협상 전문가는 "김영철은 2004년 6월 남북 간 이른바 '6.4 합의'를 통해 우리 군의 대북확성기방송 중단을 이끌어 냈다가 지난해 8월 목함지뢰 폭발사건 등을 총지휘해 대북확성기를 다시 틀게 한 장본인"이라면서 "그는 2006년 3차 남북장성급 회담 이후 본격적으로 남북협상 테이블에 모습을 드러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 전문가는 2006년 3차 남북장성급 회담에서 김영철을 대면했던 당시를 회고하면서 "김영철은 다부진 체격에 눈초리가 매섭고 협상장에서 주도권을 놓치지 않으려 했다"고 전했다.

특히 이 전문가는 "김영철은 대남도발에 깊숙이 관여하고도 정작 협상테이블에 나와서 '책임 없다'고 발뺌을 하는 '화전양면' 전술에 능한 협상의 베테랑"이라고 지적했다.

김영철이 3차 남북장성급회담 이후인 2006∼2007년 '국방위원회 정책국장'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와 당시 국방부 정책기획관을 맡고 있던 우리 측의 한민구 국방장관, 정승조 전 합참의장 등과 협상을 하기도 했다고 이 대북 전문가는 전했다.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남북 간에 추진됐던 철도·도로 연결을 위한 실무협상과 서해북방한계선(NLL) 무효화 공방에 대한 대남전략은 대부분 김영철의 손을 거쳤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철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2010년 9월 후계자로 공식화되던 제3차 당대표자회에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과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등으로 임명되면서 김정은 시대 군부의 핵심인물로 자리 잡았다.

특히 2013년 2월 제3차 핵실험 이후 북한이 도발 수위를 높여가던 과정에서 북한의 정전협정 백지화와 남북 불가침협정 폐기 선언은 모두 김영철의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영철이 과거 김용순과 김양건 등 외교관 출신들이 주로 맡았던 통일전선부장에 발탁될 경우, 군부 출신으로는 첫 번째 통전부장이 된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남북관계의 현안들이 군사적인 문제이거나 직·간접적으로 연관돼 있다는 점에서, 대남 경험이 풍부한 김영철의 통전부장 발탁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김영철은 서부전선 2군단 산하 15사단에서 비무장지대를 수색정찰하는 '민경중대원'으로 군문에 들어섰고,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연락 장교와 정찰국 부국장, 남북고위급회담 군사분과위원회 북측 위원장 등을 거치면서 '대남통'으로 잔뼈가 굵었다.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khm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