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북한 비무장지대(DMZ) 지뢰폭발 사건 당시 수색작전에 참가한 문시준 소위(왼쪽부터),
정교성 중사, 박준호 상병이 11일 국군고양병원에서 당시 현장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4일 북한 비무장지대(DMZ) 지뢰폭발 사건 당시 수색작전에 참가한 문시준 소위(왼쪽부터), 정교성 중사, 박준호 상병이 11일 국군고양병원에서 당시 현장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시 그곳으로 가서 적 전방초소(GP)를 부숴 버리고 싶은 마음뿐입니다.”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지난 4일 벌어진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사건 현장에 있었던 수색대원인 문시준 소위(24)는 11일 경기 국군고양병원에서의 인터뷰에서 “(적에게) 아군이 느낀 고통의 수만 배를 갚아주고 싶은 마음밖에 없다. 기회만 기다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소위와 수색팀장 정교성 중사(27), K3 기관총 사수이자 의무병 박준호 상병(22)이 전한 사건 당시 상황은 처절했다. 이들은 이날 심리적 후유증 치료를 위해 국군고양병원에 들렀다.

정 중사는 당시 지뢰 1차 폭발로 하모 하사(21)가 크게 다쳤을 때 ‘적 포탄 낙하’라고 외친 뒤 곧장 그에게 달려갔다. 정 중사는 “적 공격으로 인식하고 ‘가야만 한다’는 생각에 무작정 (앞으로) 뛰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김모 하사(23)에게 철조망에 걸린 하 하사를 빼내라고 외치며 전방을 주시하다가 피를 흘리던 하 하사를 지혈했다”고 했다. 김 하사는 하 하사를 후방으로 옮기던 중 2차 폭발로 쓰러졌다. 정 중사는 바로 김 하사에게 달려가 그를 뒤로 옮기려고 했지만, 하 하사를 지혈할 때 손에 피가 잔뜩 묻었던 터라 미끄러졌고, 다시 김 하사의 목 뒤쪽을 잡고 후방에 있는 둔덕 뒤로 옮겨 지혈했다.

정 중사와 박 상병은 현장 주변의 나무로 부목을 만들어 고통을 겪고 있던 하 하사를 지혈했다. 정 중사는 신속히 부상자 두 명을 바로 후송한 것에 대해 “우리 팀은 수색작전을 40여차례 했고 작전 투입 전 수많은 예행연습과 ‘워게임’으로 준비가 많이 된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문 소위는 지난 6월 부대에 전입, 작전투입을 앞두고 지형 숙지를 위해 해당 팀의 작전에 참여했으며 1차 폭발 후 신속하게 의무 지원을 요청했다. 그는 “모든 대원이 부상자를 향해 한 치의 망설임 없이 달려 나갔다”고 말했다.

부상자 김 하사는 이날 경기 성남 국군수도병원에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위로 방문을 받은 자리에서 “국방부가 (사건 후) 지탄을 받는 것 같아 마음이 좋지 않다”며 “(당시) 현장 요원 모두가 최선을 다했는데 그 점이 희생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양쪽 다리에 부상을 입은 하 하사는 가족과 행정보급관에게 ‘군복무를 계속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군 관계자가 전했다.

정 중사에 따르면 김 하사는 당시 자신도 부상을 입었지만 하 하사에게 “정신 차려라”고 이야기했고, 발목 절단 수술 직후 깨어나 가장 먼저 “하 하사는 괜찮나”고 물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고양=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