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아란 부산대 교수, 1998∼2014년 선거 분석 결과

지방선거에서는 현직이 재도전하거나 야당 가운데 의석수가 가장 많은 제1야당의 후보로 출마했을 때 당선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도 등 현직 프리미엄과 지방선거 때마다 제기되는 정권 심판론이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됐다.

또 영·호남에서는 지역주의가 역대 지방선거 결과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이 같은 결과는 황아란 부산대 공공정책학부 교수가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치른 다섯 번의 지방선거를 모두 분석한 논문 '지방선거의 당락과 현직 효과'에서 확인됐다.

1961년 5·16 쿠데타로 사라졌던 민선 지방자치는 1995년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을 모두 선거로 뽑으면서 부활했고, 현직 효과는 두 번째 선거인 1998년부터 살펴볼 수 있다.

◇ 현직 프리미엄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기초단체장 선거에 현직으로 출마한 후보 767명 가운데 512명이 재선 또는 3선의 영예를 안아 평균 66.8%의 당선율을 기록했다.

현직 후보에 도전한 후보는 1천599명 가운데 16%인 255명만 장벽을 뚫었다.

현직이 출마를 포기하거나 3선 연임제한으로 출마하지 못해 무주공산이 된 지역에 출마한 후보는 1천337명 가운데 28.5%인 381명이 당선됐다.

광역의원 선거에서도 현직 후보 1천719명 가운데 62.7%인 1천78명이 의회 재입성에 성공했다.

반면 현직에 도전한 후보는 2천635명 가운데 582명만 배지를 달아 당선율이 22.1%에 그쳤다.

무주공산 지역에 출마한 후보의 당선율은 37.5%(4천286명 가운데 1천605명)로 집계됐다.

그러나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재선에 도전한 후보의 당선율은 70.6%인 반면 3선에 도전한 후보의 당선율은 53.7%에 머물렀다.

황아란 교수는 12일 "재임 기간이 늘어나더라도 현직 프리미엄은 별로 달라지지 않지만 세대교체에 대한 열망은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공천 과정에 물갈이 폭이 큰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재선에 도전한 후보와 3선에 도전한 후보의 당선율이 각각 63.2%와 60.6%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 제1야당 후보 우세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정당별로는 제1야당 후보가 852명 가운데 541명이 당선돼 당선율 63.5%로 가장 높았다.

여당 후보와 기타 후보는 당선율이 각각 38.9%(889명 가운데 346명)와 13.3%(1천962명 가운데 261명)에 머물렀다.

광역의원 선거에서도 제1야당 후보는 당선율이 71.5%(2천533명 가운데 1천811명)나 됐다.

같은 선거에서 여당 후보와 기타 후보의 당선율은 각각 40.9%(2천573명 가운데 1천52명)와 11.4%(3천534명 가운데 402명)로 분석됐다.

현직이면서 제1야당 소속으로 출마한 기초단체장 후보의 당선율은 무려 85.2%(270명 가운데 230명), 광역의원 후보의 당선율은 85.1%(642명 가운데 546명)로 나타났다.

지방선거가 보통 대통령 선거 사이에 치러지기 때문에 정부와 여당을 견제하는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황아란 교수는 분석했다.

◇ 지역주의 뚜렷
영남지역에 출마한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후보와 호남지역에 출마한 새정치민주연합(옛 새정치국민회의, 민주당, 열린우리당) 후보의 당선율은 평균 80.5%나 됐다.

특히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당선율이 무려 87.6%를 기록했고,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당선율이 73.3%로 나타났다.

또 영·호남에 지지기반을 둔 정당 후보로 출마하면 현직에 도전하더라도 기초단체장 후보의 51.9%, 광역의원 후보의 71.4%가 당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연합뉴스) 민영규 기자 youngky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