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현장은 삭제가 아니라 세계유산 목록에 올라야"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한국대표단 공동수석대표인 조태열 외교2차관은 5일 메이지시대 일본 산업유산이 조선인 강제노역 사실을 반영하는 형태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데 대해 "우리는 이 문제를 항상 역사는 밝고 어두운 면, 빛과 그늘을 있는 그대로 기억해야 된다는 측면에서 접근해 왔다"면서 "오늘 (세계유산위) 결정에 대해 만족한다"고 말했다.

조 차관은 이번 등재 결정문이 "양국이 합의한 결과"라면서 "한일 양국이 어렵고 미묘한 문제를 협상을 통해서 해결했기에 다른 까다로운 문제들도 원만한 합의를 통해 해결함으로써 양국 관계가 선순환되는 계기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번 협상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 "한국인을 비롯해 중국인과 다른 연합국 포로들이 아주 가혹한 여건하에서 일을 했다는 강제성에 대해서 한국과 일본이 입장이 달라 끝까지 어려운 점이 있었다"고 말했다.

일본과 질긴 실무협상을 벌인 최종문 외교부 유네스코 협력대표는 "우리 일반 국민감정으로는 일본 산업시설을 아예 세계유산에 등재하지 못하게 하거나, 적어도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인 7군데만큼은 빼도록 했어야 하지 않느냐 하겠지만, 유네스코와 세계유산위원회 시스템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할 때 그것은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 대표는 "어려운 여건에서도 우리로서는 일본정부로 하여금 강제노역을 인정케 하는 성과를 냈다고 생각한다"면서 "무엇보다 7군데 강제징용 현장을 이번 협의를 통해, 그리고 세계유산 등재 과정을 계기로 '부정적 문화유산'으로 확실히 하는 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

역사는 있는 그대로 기억되어야 하며, 그런 측면에서 강제징용과 같은 부정적인 역사도 당연히 기술되어야 한다고 강조한 그는 "7군데 강제징용 현장을 세계유산 등재 목록에서 삭제하는 일은 어떤 면에서는 그런 어두운 역사를 우리가 삭제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면서 "오히려 그런 측면을 부각한 세계유산 등재가 역설적으로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taeshi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