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공공기관 100곳이 공개채용 때 기존의 학력이나 스펙 대신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다. 또 공무원 채용 과정에도 NCS 전형이 시범적으로 도입된다.

고용노동부가 22일 대통령에게 보고한 2015년 업무보고는 NCS 기반의 능력중심사회 구축에 초점이 맞춰졌다. NCS는 산업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직무능력을 국가가 표준화한 것으로, 작년 말 건설·기계·화학·정보통신·문화예술디자인 등 797개 직무별 모델 개발을 마쳤다.

고용부는 우선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동발전, 대한주택보증 등 지난해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부터 NCS 컨설팅을 받은 30여개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연내 100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2017년부터는 전 공공기관에서 NCS 채용이 의무화된다.

NCS를 활용한 공무원 채용도 늘어난다. 고용부는 올해 민간경력 경쟁채용 과정에 NCS 전형을 시범 도입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형 방식은 기존의 학력·가족사항을 담은 이력서를 대신해 직무능력을 표현한 역량 지원서, 인성과 종합직무능력을 평가하는 역량 시험·면접 등의 형태다. 채용 일정이나 직군·직무별 업무 내용, 필요 역량 등은 최소 3개월~1년 전에 공개된다.

박사학위가 없어도 대학교수가 되는 길이 넓어진다. 이른바 국가역량체계(NQF)를 구축하는 것으로, 기존에 학력 중심으로 이뤄진 평가 방식을 자격, 현장 경력, 교육훈련 이수 등과 연계될 수 있게 하는 NCS 기반 평가 체계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2013년 강신익 전 LG전자 사장이 박사학위 없이 한동대 전임교수로 임명돼 화제가 된 적이 있다. 고용부는 연내 기계·소프트웨어 등 10개 분야에 NQF를 시범 도입하고 2017년 이후 제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세종=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