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내각·靑 인사서 핵심 국정주도세력 부상…'성시경' '위성미' 인선
친박 서서히 핵심축 부상…인수위·대선캠프·미래硏 '인재풀' 산실

박근혜 정부의 출범은 국정주도세력의 변화를 의미한다.

새로운 국정주도세력은 박 당선인의 국정 철학을 공유하면서 향후 5년간 대한민국을 이끌 인재사단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박 당선인이 고심 끝에 내놓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조각 그리고 청와대 인선에서 새 정부 5년을 이끌 '파워 인맥'의 면면을 짐작할 수 있다.

◇ 첫 내각·청와대 인선 '박근혜 정부' 성패 가른다 = 조각과 첫 청와대 인선에서 중용된 인사들이 누구보다도 주목된다.

출범 초기 6개월이 정권의 성패를 가른다는 관측이 많은 만큼 이들에 대한 박 당선인의 신뢰와 기대가 그만큼 크다고 볼 수 있다.

첫 내각의 경우,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내정자 중 관료와 교수·연구원 출신이 13명으로 가장 많다.

'책임장관제'라는 공약에 맞게 전문성과 안정성을 중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관료출신은 현오석 기획재정부, 서남수 교육부, 윤병세 외교부, 황교안 법무부, 김병관 국방부,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윤성규 환경부 장관 내정자 등 8명이다.

교수·연구원 출신은 류길재 통일부, 이동필 농림축산부, 방하남 고용노동부, 서승환 국토교통부,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내정자 등 5명이다.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는 민간기업에서 커온 순수 민간인 출신이다.

청와대의 경우, 이와 달리 '친정체제'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더욱 실질적인 국정주도 세력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청와대의 3실장-9수석비서관 중 박 당선인과 인수위에서 함께 일을 하거나 대선 때 조언그룹으로 참여하는 등 직접적 관련이 있는 인사들이 9명이나 되는 것이 이를 방증한다.

특히 정치권에서 잔뼈가 굵은 친박 허태열 전 의원과 '복심' 이정현 당선인 정무팀장을 각각 비서실장과 정무수석으로 선임한 것은 정권 초기 개혁추진 과정에서 여야 정치권과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의지인 동시에 박 당선인의 의중을 내각에 더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성격도 띤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밖에도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이나 박흥렬 경호실장 내정자 그리고 유민봉(국정기획수석), 모철민(교육문화수석), 곽상도(민정수석), 최순홍(미래전략수석), 이남기(홍보수석), 조원동(경제수석), 최성재(고용복지수석), 주철기(외교안보수석) 수석 등도 박 당선인의 전폭적 신임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첫 내각과 청와대 인선에서 '성시경'(성균관대학교, 고시, 경기고) 인선이나 '위성미'(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성대, 국가미래연구원)' 인선이 도드라진 만큼, 향후에도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지 주목된다.

◇ '친박' 서서히 국정핵심축 부상 = 조각에서는 이른바 친박(친박근혜) 인사들의 기용이 최소화됐다.

유정복 안전행정부, 진영 보건복지부,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 내정자 등 3명만이 측근 정치인 출신이다.

더구나 조 내정자는 친이(친이명박)계 출신이다.

그러나 청와대 인선에서 허태열 비서실장과 이정현 정무수석이 '실세' 자리에 임명되면서 친박 인사들의 부상에 더욱 무게가 실리는 느낌이다.

박 당선인의 국정 철학을 공유할 필요성이 크다는 점에서 앞으로 비서관과 선임행정관 인선에서는 친박 인사들의 기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이번 인선에서는 기용되지 않았던 새누리당내 `원조 친박' 인사들도 정권 중반 이후 활약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다.

최측근 최경환 의원을 비롯해 김무성 전 의원과 유승민ㆍ김재원 의원 그리고 이혜훈 최고위원 등은 정무적 능력과 전문성 등을 인정받는데다 박 당선인의 신뢰도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언제든지 중책을 맡길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 인수위ㆍ대선캠프ㆍ국가미래硏 '인재풀' 산실될 듯 = 현재는 물론이고 미래 박근혜 정부의 재목을 점쳐보기 위해서는 인수위나 대선캠프 그리고 국가미래연구원에서 활약한 인사들을 우선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각이나 청와대 인선을 보면 "쓴 사람은 또 쓴다"는 '박근혜식 용인술이' 더욱 확실해졌기 때문이다.

국가미래연구원은 2010년 말 설립된 사실상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였다.

여기에서 각 분야에 대한 정책의 기틀이 마련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들 중 상당수가 대선 기간 대선 캠프 내에서 정책 공약을 마련하는 국민행복추진위원회에 입성해 활동했다.

또 여기에서 적지 않은 인사가 인수위에 참여해 정책의 연속성을 이어갔다.

예컨대 윤병세 외교장관ㆍ서승환 국토교통장관ㆍ최성재 고용복지수석 내정자는 '국가미래연구원→행추위→인수위'를 모두 거친 이른바 '박근혜 정책사단'이다.

초대 통일부장관 후보로 강력하게 거론됐었지만 인수위 초반 일신상의 이유로 사퇴한 최대석 이화여대 교수 역시 같은 코스를 밟아오면서 박 당선인과 정책적으로 밀접하게 교감을 이뤄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현역 최대한 배제' 원칙에 따라 이번 조각과 청와대 인선에서는 기용되지 않았지만 '박근혜표 공약' 마련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강석훈ㆍ안종범 의원과 국가미래연구원을 이끌어온 김광두 원장도 향후 언제든지 중책에 기용될 수 있는 인사라는게 중론이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