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 채택 논의를 지지한다고 밝힘에 따라 안보리 논의 과정에서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안보리가 북한 로켓 발사에 대한 대응조치 논의를 본격화한 가운데 알렉산드르 루카셰비치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14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결의안 채택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우리는 여러 형태의 대응 방안을 건설적으로 논의하는데 완전히 열린 자세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내용에 따라서는 안보리의 대북 결의안 채택을 지지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러시아가 북한에 대한 결의안 논의에 적극적인 태도를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지금까지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북한의 로켓 발사를 비난하면서도 대북 제재 방안 논의에서는 중국과 함께 추가 결의안 채택에 반대할 것으로 예상해 왔다.

러시아의 이런 입장은 과거와 비교해 한 발자국 더 나아간 것으로 중국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북한이 광명성 3호 위성 발사에 실패했던 지난 4월 러시아는 발사 이전에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성명을 냈지만 발사 이후에는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안보리 외교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러시아의 반응이 4월과는 좀 다른 것 같다"며 "중국을 암묵적으로 지지하며 묻혀 가고자 했던 당시의 입장과 달리 이번에는 어느 정도 목소리를 내겠다는 의사표현 같다"고 평가했다.

그는 "러시아의 이번 입장 발표로 중국은 결의안 논의에 반대하는 유일한 상임이사국이 됐고 이는 중국을 곤혹스럽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다만 러시아의 입장이 결의안 자체가 아닌 결의안 채택 논의를 지지한다는 식으로 표현됐다는 점에서 중국에 대한 압박 효과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다른 전문가는 "중국을 설득하기만 하면 새 결의에 반대하지 않겠다는 입장 정도로 해석된다"고 했다.

중국 정부는 이날도 안보리가 논의 중인 대북 제재 움직임에 부정적 견해를 표명했다.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조선(북한)은 유엔 회원국으로서 안보리의 관련 결의를 준수할 의무가 있다"는 점은 재확인하면서도 "안보리의 관련 반응은 신중·적절한 것으로 반도와 지역의 평화 안정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며 새로운 결의에 대한 거부감을 내비쳤다.

중국 정부는 그러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안보리 논의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여전히 고심 중이며 아직 최종적인 입장을 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안보리의 논의는 중국대표부가 본국의 지침을 받은 이후에 본격적인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김숙 한국대표부 대사는 지난 12일 간담회에서 안보리 긴급회의에서 나타난 중국의 태도가 북한에 대한 규탄보다는 폭넓은 한반도 정세에 대한 우려를 우선하는 분위기라고 전하면서도 "현 단계에서 중국이 공식적인 입장을 예단하는 것은 이르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유엔본부연합뉴스) 정규득 특파원 wolf8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