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1987년 경제민주화 관련 조항을 헌법에 집어넣게 된 과정을 소상히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

김 위원장은 “(내가) 헌법개정위원회 책임자로 발표되니까 의외로 반응한 곳이 전경련이었다”며 “당시 전경련 홍보대책위원장이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었는데, 헌법 개정에 반대하기 위해 20억원 정도 예산을 확보했다는 발표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헌법 개정에 경제단체가 그토록 민감하게 반응하는 게 납득이 가지 않았다”며 “그런 와중에 당시 전경련 회장이던 고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전화해서 헌법 개정을 놓고 토의하자는 제의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토론회가 열린 속초에 갔더니 참여한 교수와 언론계 인사 모두 전경련을 지지하는 분들로만 구성돼 ‘꽤 공격을 받겠구나’ 생각했다”며 “2시간 동안 자본주의를 놓고 논쟁을 벌였는데 나중에 사회를 보던 교수가 오해해서 미안하다고 했다. 흔히 말하는 사회주의자로 오해한 것 같았다”고 전했다.

정 전 명예회장과 서로 오간 얘기도 소개했다. 김 위원장은 “정 회장이 나를 보고 ‘자본주의를 불안하게 만드는 장본인처럼 생각된다’고 하면서 (재벌에 반감을 갖는) 이유에 대해 물은 적이 있다”고 했다. 그는 이에 “내가 당시 소매업에 진출하려는 현대그룹을 예로 들어 ‘소규모 자본을 갖고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이 많아야 자본주의가 안정되는데, 그런 사람들이 설 자리를 없애면 자본주의가 위험해진다. 중공업으로 재계 1등을 하는데 왜 소매업에 진출하려고 하느냐’고 되물었다”고 말했다. 그는 “정 회장이 ‘그럼 어떻게 하는 게 좋겠냐’고 묻길래 ‘그 분야에서 손 떼는 게 좋겠다’고 했다”며 “이에 대해 정 회장은 ‘다른 사람이 안 하면 나도 안 한다’고 했다”고 전했다.

그는 “1987년 헌법 개정안을 만들어 당시 전두환 대통령에게 보고했더니 그 조항을 빼라고 했다”며 재계 심기를 건드려 좋을 게 있겠느냐는 것이 이유였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그래서 내가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을 예로 들면서 뺄 수 없다고 얘기해 결국 경제민주화 조항인 119조 2항이 확정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