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공천정국서 '친박실세 역할론'에 촉각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공천 정국이 본격화하면서 공천과 관련해 당내에서 이른바 `친박(친박근혜) 실세 역할론', `친박 물밑 작업론' 설(說)이 제기되고 있다.
선거 때가 되면 으레 나오는 `음모론'이라는 시각도 있고, 동시에 정치적으로 볼 때 개연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다만 비주류가 된 소위 친이(친이명박)계 일각에서 의구심 어린 시각도 있다는 점에서 향후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7일 당내에서 흘러나오는 얘기들을 종합하면 친박 핵심으로 알려진 A의원은 얼마전 고위 관료 출신 인사와 접촉해 서울 모 지역구에 출마를 요청했다는 설이 있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측 한 인사가 한 문인에게 비례대표 출마를 요청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최근 새누리당과 합당을 의결한 미래희망연대의 서청원 전 대표도 주변 인사들을 상대로 인재영입에 나섰다는 설도 있다.
친박 핵심 의원 3명 가량이 각 지역별로 중진 용퇴나 물갈이 작업을 위해 `조용하게' 지역 여론 정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미확인 루머'도 있다.
이에 대해 친이계에서 아직까지 별다른 반응은 없다.
자칫 계파간 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신중한 분위기도 감지된다.
한 친이계 의원은 "A,B,C 의원이 주로 정치적 역할이 있는 것 같다"면서 "다만 C 의원에게 정책 쪽으로 중책을 맡기면서 친박계 D의원이 새롭게 거중 조정을 맡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다른 친이계 의원은 "정치적 역할이야 당연히 누군가 해야 한다.
그게 없으면 정치가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또 다른 친이 의원도 "어느 정도의 정치행위도 안 하면 아무 생각이 없는 사람들"이라면서 "그게 얼마나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느냐가 중요한데, 명분을 갖고 하면 누가 뭐라고 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당의 한 관계자는 "현재 친박 중진들의 용퇴 등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친박 내에서 박 비대위원장을 대신해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논리도 내세웠다.
다만 익명을 요구한 한 친이계 의원은 "공식 기구인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가 있는데 왜 이른바 친박 핵심인사들이 따로 비선처럼 공천에 관여하느냐"고 비판했다.
사천 가능성에 대한 일종의 문제 제기인 셈이다.
최근 당이 친박계 홍문종 전 의원에 대한 복당을 의결한 것도 이런 분위기에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홍 전 의원은 2006년 경기도당 위원장으로서 당시 지방선거 후보 공천심사 작업을 할 때 친이계와 마찰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홍 전 의원이 총선을 앞두고 복당해 경기지역 공천에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친이계에서 나온다.
이에 대해 고위관료 접촉설이 제기된 A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그 사람이 디지털 마인드도 상당하고 대중적 인지도도 있어 지역구에 나가볼 순 있겠지만, 접촉한 적은 없다"면서 `실세 활동설'에 대해서는 "총선 직전 나뿐 아니라 모두가 나서 주변의 좋은 인물을 추천해 공심위라는 공적인 테이블에 올려놓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니냐. 음모론적 시각 자체가 이상하다"고 반박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김범현 기자 south@yna.co.kr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