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의원 절반 물갈이론..2040맞춤형 정책 추진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완패한 한나라당은 내년 4월 총선을 정조준, 쇄신책 마련에 착수했다.

한나라당은 그동안 각종 선거 패배 때마다 `쇄신 바람'에 직면, 당 리더십 교체라는 수를 둬왔다.

하지만 이는 한나라당과 20∼40대의 간격을 좁히지 못했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확산이라는 흐름에도 동떨어지는 등 당의 `체질개선'과는 거리가 멀었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이번에는 지도부 교체라는 일시적 충격보다,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기 위한 긴 호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당풍 쇄신 = 당의 분위기를 일신하는 게 절체절명의 과제다.

원희룡 최고위원은 한나라당의 현주소를 "후지다"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홍준표 대표는 대학가를 찾아 타운미팅을 진행하고, 한나라당과 다른 정서를 갖는 외부 전문가 그룹에 의뢰, `한나라당 컨설팅'을 받는 등 귀를 여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젊은이들을 비롯해 한나라당에 반감 또는 거리감을 갖는 이들에게 적극 다가가기 위해 `한나라당'이라는 이름을 과감하게 버리는 것도 검토하는 등 당풍 쇄신에 나선다는 게 홍 대표의 각오다.

게다가 이번주부터 남경필 정두언 이혜훈 구상찬 김성식 김세연 정태근 홍정욱 등 `혁신 8인방'도 대혁신의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여 당내 쇄신 논의는 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정권 사무총장은 3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가장 큰 문제는 당내 치열함과 절박감이 없다는 것"이라며 의원들의 적극적 동참을 촉구했다.

◇새 인물 영입 = 현 지도부를 그대로 둔 채 `새 인물 수혈'로 당을 바꿔나가는 쪽으로 일단 갈피를 잡았다.

이는 내년 총선 공천을 앞두고 `대대적 물갈이'로도 연결될 수 있다.

실제로 서울지역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는 `현역 의원 절반 물갈이론'이 공공연하게 나오는 상황이다.

총선을 앞두고 인적 쇄신을 통해 `영남당', `노인당' 이미지를 벗어던지자는 것이다.

다만 공천개혁, 즉 물갈이 과정에서 지난 18대 총선 때와 같은 계파간 극심한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인적 쇄신의 명확한 원칙과 기준, 자기희생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게 대체적 견해다.

현재 한나라당은 물밑 인재영입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한 핵심관계자는 "내년 총선 공천을 염두에 둔 영입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에게 무한 감동을 줄 수 있는 `스토리'가 있는 사람을 찾아내는 데 주력하고, 20∼40대의 호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슈퍼스타K' 또는 `위대한 탄생'과 같은 공개 오디션을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20∼40대 정책 = 이번 서울시장 보선을 통해 한나라당은 20∼40대의 이반을 확인했다.

이들의 마음을 돌리기 위한 방법으로 `2040 맞춤형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한 주요 당직자는 "20∼40대를 정책으로 끌어안아야 한다"며 "이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을 해소할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20대에게는 대학등록금과 청년일자리, 30대를 위해서는 전ㆍ월세값 및 보육 문제, 40대를 위해서는 주거 및 자녀 교육 문제 등의 목표를 설정, 이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내놓는다는 것이다.

이주영 정책위의장은 "일자리, 대학등록금, 보육, 전셋값 등 2040세대의 어려움과 직결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정책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비정규직 보호, 청년창업 지원, 대학등록금 부담 완화 등을 정기국회에서 통과시키겠다"고 강조했다.

◇SNS 소통 강화 = 서울 참패의 주요 원인으로 트위터를 비롯한 SNS에의 안일한 대응이 꼽힌다.

이를 의식한 한나라당은 선거 직후인 지난 2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SNS 관련 외부 명망가 영입, 당 안팎의 SNS를 통한 소통강화, SNS 관련 어플리케이션 개발 등의 대책을 1차로 제시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이 같은 `하드웨어적 접근'만으로는 더욱 치열해질 `SNS 승부'에서 결코 이길 수 없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정태근 의원은 "트위터에 놀 수 있는 조롱거리가 던져져도 이를 고치는 사람이 부족해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고, 다른 의원은 "전체 의원들의 공감대 속에 광범위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 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