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이 정상회담에서 '선 남북 대화,후 6자회담 원칙'을 깨면서까지 6자회담의 구체적인 액션 플랜을 내놓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선 남북 대화' 형식을 건너뛸 경우 한국 정부의 체면이 크게 구겨지는 점을 고려해서다.

임수호 삼성경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작년부터 미 · 중 간에 북한 문제는 6자회담을 통해 '관리모드'로 간다는 합의가 있었다"며 "이런 와중에 천안함 · 연평도 사건이 터져 실행이 안 됐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종철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6자회담 재개가 원칙이라거나 필요성은 합의하겠지만,한 · 미 공조가 잘되는 상황에서 '재개하자'고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미 · 중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비핵화가 안정과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거나,한반도 불안정성이 미 · 중의 이해와 배치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각국 정상이 최대한 노력한다는 내용 등 다소 광범위한 결론으로 마무리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미 · 중 정상회담 이후다. 남북 대화를 위한 판이 마련된다 하더라도 천안함 · 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의 사과 등 '성의있는 조치' 없이 우리 정부가 먼저 무작정 대화를 시작하기는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임 선임연구위원은 "당장 당국 간 대화를 재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지만,공개 접촉이 안 되면 물밑 대화 같은 비공개 접촉을 통해 북한의 속내를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산가족 상봉 등 적십자회담을 통해 인도적인 접촉을 할 수 있다"며 "남북관계의 원칙적인 입장을 강조하면서도 이런 방식으로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