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한.중외교회담서 中 태도표명 주목
'책임역할' 주문에 소극적 태도 견지할 듯

중국을 겨냥해 정부가 설득과 압박을 병행하는 전방위적 외교전을 펴고 있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북 규탄 움직임에 중국을 동참시키고 '책임있는 역할'에 나서도록 하는데 초점이 있다.

이는 한국 정부가 전면에서 주도하는 형식보다는 한.미.일 공조전선의 틀에 터잡고 있다.

중국을 움직이지 않고는 사태의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는 공감대 속에서 3국이 역할분담을 꾀하며 압박효과를 높이는 '삼각 공조'를 하고 있는 양상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24일 미.일 정상과 나눈 전화통화 내용은 이를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이 대통령이 중국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하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중국이 북한에 대해 분명한 태도로 임해야 한다"며 "중국이 대북관계에 있어 협력을 같이해야 한다고 나도 통화하겠다"고 화답했다.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 역시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큰 만큼 북한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중국이 단호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며 "일본도 이러한 메시지를 중국에 전달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 차원의 외교적 노력도 가속화되고 있다.

김성환 외교장관이 23일 장신썬(張흠<金 3개>森) 주한 중국대사를 초치해 우리 정부의 입장을 설명한데 이어 신각수 외교1차관은 24일 장신썬 대사와 비공개 면담한 자리에서 중국의 책임있는 역할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주중 한국대사관을 통해서도 우리측 입장을 적극 개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 7함대 소속 원자력 항공모함인 조지 워싱턴호가 참여한 가운데 28일 시작되는 서해 한미 연합군사훈련도 중국에 보내는 '신호'의 의미도 담겨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결국 중국이 이번 사태해결의 키포인트라는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현재 정부가 검토중인 다자와 양자차원의 조치는 모두 중국의 도움 없이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다는게 외교소식통들의 분석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의 경우 P5(상임이사국 5개국)의 일원인 중국의 소극적 태도를 견지하는 한 의미있는 결과를 가져오기 어렵고 양자차원의 제재강화도 중국이 협조하지 않는한 '약효'가 나타날 수 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북한의 추가적 도발을 억제하려면 중국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는게 정부의 상황인식이다.

이와 관련, 마이클 헤이든 전 CIA(美중앙정보국) 국장도 23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 방송과 인터뷰에서 "중국이 압박하지 않는 한 북한의 추가 군사도발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양제츠(楊潔지<兼대신虎들어간簾>) 중국 외교부장의 26∼27일 방한을 계기로 열리는 한.중 외교장관 회담이 중국측의 태도를 엿보는 중요한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가에서는 현재로서 중국의 태도에 가시적 변화를 기대하기는 힘들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국 정부는 사태발생 이틀째인 24일 외교부 대변인 명의의 공식 성명에서 '냉정과 절제'를 강조하는 중립적 태도를 표명했다.

이는 천안함 사태때의 중국측의 모호한 대응을 다시금 연상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중국측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6자회담 재개 쪽으로 방향을 몰아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여론과 `외교적 압력'으로 인해 중국으로서도 미묘한 태도변화를 연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북한의 천안함 사태에 이어 연평도 포격도발로 중국이 또다시 외교적 시험대에 오른 형국이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기자 rh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