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이번 선거 고전으로 적잖은 후유증을 앓을 전망이다.

당장 정몽준 대표와 정병국 사무총장 등 지도부 책임론이 제기되면서 당은 쇄신 및 조기 전대 논란에 휩싸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 과정에서 당내 역학구도의 변화도 이어질 전망이다.

책임론을 고리로 한 친이(친이명박), 친박(친박근혜)간 해묵은 갈등이 재연된다면 당이 분열양상으로 흐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비록 참패는 면했지만, 패배로 해석될 소지가 다분하다는 점에서 이명박 대통령 입장에선 개각을 포함한 대대적인 국정쇄신 압박을 받고, 4대강과 세종시, 행정구역개편, 개헌 등 각종 개혁과제의 추진에도 부분적으로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없지 않다.

역으로 민심 수습 차원에서 각종 개혁과제를 더욱 강하게 밀어붙일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국정 주도권을 둘러싼 여야간 심각한 갈등이 예상된다.

실제 민주당은 지방선거 선전의 여세를 몰아 정국 현안에 확실한 목소리를 내며 정국 주도권을 잡으려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를 계기로 야권의 정치지형 재편 논의도 본격화될 공산이 크다. 야권 후보 단일화를 통해 소기의 성과를 거둔 만큼 야권 통합론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은 고(故)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구심점을 잃고 방황해 온 야권의 구심적 역할을 자임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으로 상황을 좁혀보면 선거를 총지휘한 정세균 대표의 위상이 강화되는 반면, 당내 라이벌로 경기지사 선거에 사활을 걸었던 손학규 전 대표와, 정 대표와 각을 세워 온 정동영 의원의 입지는 상대적으로 축소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주류-비주류간 갈등은 일단 수면 아래로 잠복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정 대표의 8월 전당대회 출마가 확실시되는 가운데 당권을 둘러싼 이들 3인 간의 팽팽한 힘겨루기는 불가피해 보인다.

이번 선거 결과는 한나라당 우세의 현행 대선구도의 일정부분을 흔들 것으로 보인다.

정몽준 대표는 리더십에 상처를 입게 됐고, 박근혜 전 대표는 선거에는 관여하지 않았으나 자신의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수 선거 지원에 나섰음에도 승리를 이끌어내지 못한 데 따른 책임론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번 선거에서 영.호남 지역감정이 다소 옅어진 것은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한나라당 텃밭인 경남에서 친노(親盧.친노무현) 무소속 김두관 후보가 당선됐고, 민주당 텃밭인 광주와 전남.북에서 한나라당 후보들이 전국 단위 선거에서 처음으로 10%대의 득표율을 기록한 것은 상징적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