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함 이어 美구조함.독도함.민간다이버 합류예정
李대통령, 각종 의혹제기에 "철저 조사후 의혹없이 공개"
靑 "실종자-가족통화 사실아니다"..정부, 사고수습 비상총력체제

서해 백령도 해상에서 침몰한 천안함(1천200t급)에 대해 28일 사흘째 탐색.구조 활동을 편 해군은 가라앉은 함수 위치를 확인하는 등 일부 성과를 거뒀다.

29일에는 우리 함정 9척과 미군 함정 4척 등 13척이 사고 해상을 집중 수색 지원할 예정이어서 함미 위치 확인을 비롯한 선체 조사에서도 일부 진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군은 전날 사고 지점의 물살이 거세고 해저 시계가 매우 나쁜 상황이었지만 여섯 차례 입수 끝에 함수 위치를 파악해 함수에 위치 표식인 '부이'를 설치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실종자는 발견하지 못했다.

합동참모본부 박성우 공보실장은 "해난구조대(SSU) 잠수요원들이 오후 7시10분께 함수 및 함미가 가라앉은 바다 밑으로 각각 들어가 부이 설치 작업을 펼쳤다"면서 "함수 지점에 입수한 잠수요원들이 오후 7시57분께 함수에 위치표식 부이를 설치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박 실장은 다만 "함미가 가라앉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에 SSU 잠수요원과 민간다이버 홍모(27) 씨가 입수했으나 홍씨가 저체온증을 나타내 광양함으로 이송했으며 부이는 설치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군은 29일 오전 함미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에 SSU 잠수요원들을 재투입시킬 예정이다.

하지만 사고가 발생한지 만 이틀이 지나도록 실종자의 생사확인은 물론 정확한 사고 원인과 경위조차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실종 승조원 가족들은 대책협의회를 구성하고 조속한 수색을 촉구하고 나섰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사고 발생후 4번째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실종자 수색에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지시했으며, 정부는 정운찬 총리 주재로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는 등 비상체제를 이어갔다.

앞서 군은 오전 8시27분과 낮 12시19분 등 두 차례 함미 추정지점에, 낮 12시52분과 오후 1시35분 두 차례 함수 지점에 각각 SSU 잠수요원을 투입했지만 특별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에 박성우 실장은 "밀물과 썰물이 교차하는 시간에 작업을 하지만 그나마 유속이 빠르고 해저 시계가 안 좋아 각각 3~4분씩 외에는 작업을 하지 못해 성과가 없었다"고 말했다.

군은 폭발 직후 가라앉은 함미 부분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정밀 탐색을 하고 있으며, 함수 부분은 물살에 떠내려가 폭발 지점에서 동남방 4마일(7.2㎞) 지점에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군은 날이 저물어 탐색.구조작업을 29일 오전으로 미뤘으며 현지에 도착한 구난함인 광양함(3천t급)의 지원과 함께 음탐기(VDS)를 갖춘 소해함(730t급) 2척의 탐색작업에 기대를 걸고 있다.

해군 초계함 3척은 이날 해상 수색과정에서 구명복 22개와 안전모 15개, 부력방탄복 1개 등 천안함의 부유물을 회수했다.

김성찬 해군참모총장도 광양함에 탑승해 탐색.구조작업과 준비 상황을 철야 지휘하고 있다.

특히 한.미연합 야외기동연습인 독수리훈련(Foal Eagle)에 참가했던 미 해군 구조함인 3천t급 살보(Salvo)함도 29일 탐색.구조작업에 합류할 계획이다.

이 함정에는 16명으로 구성된 5개의 잠수구조팀이 탑승해 있다.

이미 미군 순양함과 구축함 등 3척이 현장에 도착해 지원하고 있고 이들 함정에는 잠수함을 탐지해 공격할 수 있는 헬기 SH-60 헬기가 각각 1대씩 탑재되어 있다.

민간다이버도 SSU 요원들과 작업에 참여하는 한편 규모가 큰 민간해상선박 크레인을 동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아시아 최대 수송함인 독도함(1만4천t급)이 침몰한 천안함(1천200t급)의 탐색.구조 작업을 총괄 지휘하기 위해 29일 밤 사고 해상에 긴급 투입된다.

군 관계자는 "진해에 있는 독도함을 침몰 사고 해상으로 긴급 투입키로 결정했다"면서 "독도함은 사고 해상에 정박해 '모함'(母艦)으로서 탐색.구조 작업을 총괄 지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7년 7월 취역한 독도함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은 취역 이후 처음이다.

해군 2함대에 마련된 임시숙소에서 대기중인 실종자 가족들은 이날 작업에 별다른 진척이 없자 "군이 실종 장병들이 몰려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선체 후미에 대한 수색을 게을리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주재한 안보관계장관회의에서 "모든 가능성 염두에 두고 조사하되, 섣부르게 예단해서는 안된다.

예단을 근거로 혼란이 생겨서는 안된다"면서 "철저하게 조사하고 내용이 나오는대로 한 점 의혹 없이 모두 다 공개하라. 의혹이 나올 소지가 없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정운찬 총리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천안함 침몰 사고 진상규명과 사고수습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모든 지원을 다하기로 결정했다.

정 총리는 회의후 주호영 특임장관 등과 함께 백령도에 도착, 김성찬 해군참모총장과 이홍희 해병대 사령관 등으로부터 상황보고를 받은 뒤 고무보트를 타고 해군상륙함으로 이동해 장병들을 격려했다.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도 이날 평택 해군 제2함대 사령부를 찾아 실종자 가족들을 위로한 뒤 민간인 전문구조대의 수색 및 구조 참여를 독려하는 방송자막을 올려줄 것을 방송사측에 요청했다.

전날 전체회의를 열고 긴급 사고보고를 받은 국회 국방위는 오는 29일 김태영 국방부 장관을 출석시킨 가운데 사고원인 등에 대한 조사 내용과 향후 대책 등을 청취키로 했다.

사고 사흘째가 되었지만 침몰 원인을 놓고 군 안팎에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으며 실종자와 통화했다는 사실이 아닌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한편 미국 의회청문회를 마치고 전날 귀국한 월터 샤프 한미연합사령관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북한군에 의한 어떠한 특이동향도 탐지하지 못했다"면서 " "미군은 이번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모든 우발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군 소식통도 "주한미군은 천안함 침몰 사건을 전후로 대북 'SI(특별취급)첩보'가 입수되지 않았고 현재 북한 정세를 판단할 때 북측이 군사적 도발을 해서 실익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정책적 판단에 따라 북한군의 개입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김남권 이상헌 기자 threek@yna.co.krhoneybee@yna.co.kr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