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구할 마지막 기회'라는 구호를 내걸고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을 위해 세계 119개국 정상이 모인 코펜하겐 제15차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가 2주간의 일정을 마치고 18일 막을 내렸다. 이번 총회의 목표는 2013년 이후 감축안을 설정하는 '포스트 교토의정서' 체제 마련을 위한 구속력있는 협약 체결이었지만 결국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극심한 갈등만 확인한 채 끝나 큰 아쉬움을 남겼다.


선진국과 개도국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감축 이행 모니터링 의무화,개도국 온난화 대처를 위한 선진국의 자금 지원 규모를 놓고 총회 기간 내내 날카롭게 대립했다. 이 때문에 핵심 쟁점을 풀기 위한 각 합의 항목의 구체적 수치들은 대부분 '빈칸'으로 남겨지고 원론적 선언의 틀에만 머물렀다.

UNFCCC 192개 회원국은 이번 총회에서 도출하지 못한 구속력있는 신규 협약을 내년 12월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열릴 제16차 당사국 총회에서 논의하기로 했다. 2007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렸던 제13차 당사국 총회에서 합의한 '발리 로드맵'에서 정한 기한을 1년 더 늦춘 것이다.

하지만 세계 각국에 온난화 방지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기후변화에 취약한 개도국을 선진국이 도와야 한다는 이른바 '기후 정의'에 통일된 목소리를 낸 것은 성과로 평가된다. 또 교토의정서 채택 당시 참가하지 않았던 미국과 개도국을 대표하는 중국이 한 테이블에 앉아 총회를 이끌었다는 점도 변화로 꼽힌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환경건전성그룹(EIG) 정상 대표 자격으로 연설을 갖고 "무엇보다 '나부터'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새로운 국가 비전으로 삼아 매년 국내총생산(GDP)의 2%를 녹색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투입토록 했다"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자체를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동력으로 삼으려는 전략"이라고 소개했다.

이미아 기자/코펜하겐=홍영식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