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 미 국방장관이 어제 연례 안보협의회를 열어 양국간 국방현안을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미국의 대한방위공약이 재확인됐고,북핵 위협에 대한 연합방위태세 강화 노력,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문제 등 주요 군사협력 방안이 두루 논의된 점에 주목한다. 군사당국의 이 같은 공조 의지가 양국의 외교라인에서도 빈틈없이 적용돼 북핵에 대한 총체적인 공조로 이어지길 바란다.

북핵 확장억제에 대한 양국 국방장관들의 공통된 의견을 평가하면서도 우리의 당면 관심사는 '아프간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미국은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의 서울 방문 전부터 아프가니스탄에 한국의 지원을 강력히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고,어제 회담에서도 표현만 에둘렀을 뿐 분명 관심사로 부각됐기 때문이다. 다만 게이츠 장관은 기자회견에선 "아프간 지원은 전적으로 한국정부가 결정할 문제"라며 '우방국과 입장공유'를 강조하는 선에 그쳤다. 신각수 외교통상부 2차관도 어제 국정감사에서 같은 내용의 답변을 한 것을 보면 미국의 요청은 비공식적이거나 말그대로 동맹국 사이의 신중한 제안일 수밖에 없다.

요청의 형식이 어떠하든 아프간 문제에서 우리가 미국에 대고 '나 몰라라' 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문제는 대테러 전쟁이 보복테러를 초래(招來)하고,수백만명의 국민들이 해외를 오가는 한국 역시 이 같은 테러에서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이다. 더구나 아프간 전쟁에 대한 국내외의 평가 등 여러 측면에서 이 요청에 대한 우리의 고민은 참으로 클 수밖에 없다. 어떤 형태로든 지원의 필요성과 우리의 한계가 분명한 현실 사이의 고민인데,결론이 어떻게 나든 전통적인 한 · 미 동맹관계에 조금이라도 금이 가선 안된다는 점또한 중요하다.

이 문제를 결코 감정적으로 처리해서도 안될 뿐 아니라 불필요한 사회적 논쟁거리가 되어서도 안되는 이유다. 차분히 판단해 합리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지원에 동참한다 해도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경제지원과 재건복구사업 동참,경찰 · 치안프로그램 참가와 같은 방식도 있겠다. 의료와 대민봉사 위주로 성과를 거둔 자이툰 부대의 선례도 있긴 하나 직접적인 병력 파견은 최후의 검토방안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