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년만에 부부재회..전사한줄 알았던 형 상봉
국군출신 북측 상봉단 3명도 포함

(금강산=공동취재단) 조준형 김승욱 기자 = 추석 남북 이산가족 상봉 2회차 행사가 시작된 29일 금강산은 또 한 번 눈물바다가 됐다.

남측 이산가족 431명은 이날 육로로 방북,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에서 북측 상봉단 99명과 눈물속에 재회했다.

올해 만 100세로 이번 행사 최고령자인 김유중 할머니는 북측 셋째 딸 리혜경(75)씨를 만나 3분여간 딸의 얼굴을 말없이 비비며 울먹였고, 혜경씨는 "엄마, 울지마세요"라며 눈물을 닦아줬다. 김 할머니는 58년 전인 1951년 경기여고 1학년이던 혜경씨와 이별했다.

이번 상봉행사의 유일한 `부부상봉' 대상인 남측 아내 장정교(82)씨와 북의 남편 로준현(81)씨도 이날 59년만에 재회했다. 아내 장씨는 "오늘 오나 내일 오나 기다리다가 내가 시부모님도 다 모시고, 잘 모셨다고 상장까지 받았어요"라고 소식을 전했고, 로씨는 "시부모도 다 모셔주고, 네가.."라며 울먹였다. 장씨는 혼자서 딸 선자(63), 아들 영식(60)씨를 키웠고 남편 로씨는 북에서 재혼해 7남매를 뒀다.

이번 상봉행사에선 국군출신 북측 상봉단 3명과 남측 가족의 만남도 이뤄져 관심을 모았다.

한국전쟁 당시 모 사단에 소속됐던 석영순(78)씨는 남측 동생 태순(74), 창순(65)씨와 , 8사단 민간보급대 출신의 박춘식(85)씨는 남측의 아들 삼학(67), 이학(64)씨와 각각 만났다. 또 아버지를 대신해 국군으로 징집됐던 리윤영(74)씨는 남측 동생 찬영(71), 대영(67), 진영(65)씨와 상봉했다.

이들은 한국전쟁 기간 국군으로 징집돼 전쟁터에 나갔다가 가족과 헤어졌지만 남측에선 모두 전사자로 처리된 것으로 알려져 `국군포로'로 분류되지 않았다.

석영순씨는 1950년 8월 동네 청년 10여명과 함께 국군으로 징집돼 한 사단에 배치됐으며 국군본부는 이듬해인 1951년 가족들에게 통지문을 보내 석씨가 징집 3개월만인 1950년 10월18일 전사했다고 전했다.

동생 태순씨는 "형이 소속된 사단은 6.25때 팔공산 전투에서 전멸당하듯 했다고 들었다"며 "1997년 육군본부에 위패 신청을 해서 국립묘지에도 봉안했고 제사도 지냈다"고 말했다.

이날 단체상봉에서 석영순씨는 동생의 이런 얘기를 듣고 "살아 있는 사람을 보고 제사를 지내면 되나"라며 크게 웃었다.

아울러 박춘식씨는 8사단 21연대에서 계급과 군번도 없는 보급대원으로 복무하다가 가족과 이별한 경우다.
박씨는 남측 아들 삼학씨에게 북에서 새로 결혼해 낳은 5남매의 사진을 소개했고, 삼학씨는 "아버지와 연세가 같으신 동네 어른들은 다 돌아가셨는데 아버지가 북쪽에 살아계시다는 것만으로 너무 고맙고 감사하다"며 울먹였다.

또 리윤영씨는 1.4후퇴 때 서울 신당동 집에서 아버지 대신 국군에 징집됐다가 가족과 헤어졌다.

리씨의 남쪽 동생 찬영씨는 "동생들이 전부 어려 피난은 가야 하는 상황에서 징집대상이 된 아버지 대신 국군으로 나갔다가 소식이 끊겼다"며 "죽었다고 생각해서 호적 정리도 끝낸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찬영씨가 "아버지가 살아생전에 형님이 살아있다는 것을 들어야 했는데, 13년 전에 돌아가셨다"고 전하자, 윤영씨는 잠시 말을 잇지 못했다. 윤영씨는 이날 북한군 훈장 11개를 들고 나와 "북에 정착한 뒤 열심히 일해 국가로부터 인정받았다"고 동생들을 안심시켰다.

남북 이산가족들은 30일 개별상봉과 야외상봉을 하며 다음달 1일 오전 작별상봉을 끝으로 다시 기약없는 이별을 하게 된다.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