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지방 경제는 중앙만 바라보는 천수답 경제인가. 각 지역의 특성을 살려 지방 경제를 획기적으로 활성화할 방법은 과연 없을까. 엊그제 홍성군청에서 열린 충남도 · 홍성군 · 일진그룹간의 투자 양해각서 체결은 지역 경제의 살길이 무엇이고 어떻게 찾아야 할지를 다시 한번 보여준 좋은 사례다.

충남도와 홍성군이 양호한 입지조건과 함께 각종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내세워 전력 통신 분야의 중견그룹인 일진을 오랜 기간 설득한 데 힘입어 결국 유치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2015년까지 1조6000억원이 투입돼 일진의 3개 주력 계열사 공장이 홍성에 건립된다. 예정대로 되면 향후 6년간 2조원 이상의 생산유발 효과에다 1만명이 넘는 고용창출까지 내다볼 수 있다고 한다.

지자체가 나서 지방 경제의 활로를 모색한 사례는 이곳만이 아니다. 강원도 양구군은 신세계 이마트와 최근 농축산물 공급 협약을 맺었다. 양구의 농가는 안정적인 판매처 확보로 소득증대를 꾀하게 됐다. 전북 군산시는 울산에 기반을 가진 현대중공업의 새 조선소를 유치해 공사가 진행중이다. 나비축제로 유명한 전남 함평군이 민간사업자와 공동으로 당뇨와 고혈압에 특효가 있다는 군내 암반수 개발에 나선 것도 같은 노력의 일환이다.

지방 경제가 뒤처지고 무기력한 것이 서울 등 수도권으로 경제력 집중과 전혀 무관하다고 볼 수는 없다. 그렇다고 언제까지나 중앙 정부에만 의존할 수도 없는 일이다. 수도권을 억지로 묶는다 해서 투자자금이 지방으로 흘러간다는 보장은 없다.

결국 지방 스스로가 활로를 찾아야만 한다. 지자체부터 낡은 인식의 틀을 깨고 전면에 나서야 하고 지방의 대학 등도 변해야 한다. 파주시와 경기도가 협력해 구미 등지에서 오래 사업장을 운영해온 LG의 첨단 디스플레이 공장을 휴전선 인근의 야산지대로 유치해 '접경지역'을 상전벽해(桑田碧海)로 만든 것은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지자체가 경쟁에도 나서고 총력전까지 벌여야 하는 시대임을 입증한다. 충남도-홍성군 일진그룹의 투자MOU를 다른 지자체들도 다시 한번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