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권주자들 사이에서도 개헌론이 힘을 얻고 있다. 구체적인 방식에는 제각각 셈법이 다르지만 '제왕적 대통령 권력을 분산하자'는 개헌 취지에는 공감하고 있다.

한나라당의 유력한 예비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는 4년 중임제를 주장하고 있다. 박 전 대표는 지난 5월 미국 스탠퍼드대학 강연에서 "이전부터 두 가지(4년 중임제,대선 · 총선 동시실시)를 모두 찬성해 왔다"며 "말이 5년이지 처음과 레임덕 기간을 빼면 대통령이 일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분권형 대통령제에 대해서는 최근 "우리가 헌법에 있는 정신을 제대로 잘 지켜나가고 있는가부터 생각해야 한다"고 밝히는 등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몽준 최고위원도 개헌 논의에 적극적이다. 그는 2002년 분권형 대통령제를 전제로 노무현 대통령 후보와 공조한 바 있다. 최대한 빨리 개헌에 나서자는 입장이지만 구체적인 권력구조 방향에 대해서는 아직 입을 다물고 있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대통령 권력 분산이라는 방향에는 찬성하지만 방식엔 이견을 보이고 있다. 5년 단임제를 고치기보다는 중앙의 권력을 지방으로 이양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4년 중임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현 시점에서 개헌론은 여권의 국면 전환 수단에 그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야권의 또 다른 잠룡인 손학규 전 대표는 지난 17대 대선에서 4년 중임제에 찬성하되 정 · 부통령제와 의원내각제에는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는 현행 대통령제는 그대로 두는 대신,전국을 5~7개 광역단위로 나눠 중앙 정부의 권한을 분산하는 '강소국 연방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무소속인 정동영 의원은 지난 대선에 출마할 당시 4년 중임제와 정 · 부통령제 도입을 내세웠다가 지금은 다소 신중한 입장이다. 그는 9월 정기국회에서는 본격적인 개헌 논의에 들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유미/김형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