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해킹 능력은 미국 중앙정보국(CIA) 수준과 맞먹는 것으로 일각에선 평가하고 있다. 북한은 사이버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만 600명 안팎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북한의 해커 교육은 수재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전국 인민학교 학생들 가운데 영재를 뽑아 특수학교인 '금성 제1고등중학교' 컴퓨터반에 보내고,졸업생 중에서 다시 정예를 추려 미림자동화대학이나 김책공대에서 해커 교육을 시킨다. 두 대학은 모두 인민무력부 산하로 매년 50~100명의 전문 해커를 배출하고 있다. 이들은 인민무력부 정찰국 예하 해커 부대인 '기술정찰조'의 장교로 충원된다. 수재가 모인다는 김일성군사학교 졸업생 중 일부도 컴퓨터 관련 교과과정을 집중 이수하고 해커부대 장교로 임명되는 경우도 있다.

북한은 최근 사이버 전쟁 전담부대인 '기술정찰조'와 '조선컴퓨터센터(KCC)' 등을 확대 편성해 운용 중이다. 100여명으로 구성된 '기술 정찰조'는 국내 군사 관련 기관들과 군수업체의 네트워크망에 침투해 비밀자료를 해킹하거나 유사시 바이러스를 유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 노동당 비서국 산하 35호실에서도 인터넷을 통해 한국과 미국 등 각국의 정보를 수집 · 분석하고 있다. 북한은 또 이들 해커 부대를 통해 우리 군의 장성과 주요 직위자를 대상으로 해킹프로그램이 담긴 이메일을 무작위로 발송,컴퓨터에 있는 군사정보 자료를 빼내려고 시도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은 이미 인터넷을 매개로 대남 · 대미 첩보를 수집하고 전산망을 교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군은 과거 유사시 증원되는 미군 전력에 대한 정보 수집,미군 인터넷과 첨단 전술지휘자동화(C4I) 체계 교란을 위한 자료 축적에 관심을 가졌으나 최근에는 사이버 전쟁 수행과 군 정보화체계 탐지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무사 관계자는 "그동안 적발된 해커들의 IP를 역추적한 결과 북한발 해킹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북한 해커들이 중국에서 활동할 가능성이 커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국방부는 국가안보 위협 요소로 급부상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2010년께 정보보호사령부를 창설할 계획이다. '사이버 사령부'로 불리는 이 부대는 국방부와 기무사,각 군 전문요원들로 구성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