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대북제재 내용을 담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 초안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향후 북한의 대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제재안이 2006년 1차 핵 실험 때의 안보리 결의 1718호보다 한층 포괄적이고 강력한 내용들을 담고 있는 데다 북한이 그동안 국제 사회의 어떤 제재 행위도 도발로 간주하겠다고 밝혀 온 만큼 당분간 군사 도발 등의 극단적 방법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 교수는 "북한이 그동안 예고한 대로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3차 핵 실험, 농축우라늄 시험개발 등에 차례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최근 핵 실험 등 도발 행위가 미국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어느 정도 후계구도 마련을 위한 내부 단속용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국제사회의 제재 내용에 관계없이 예정된 수순을 계속해 나갈 것이란 전망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미 여기자 문제를 계기로 미국과 대화 채널을 마련한 후 적당한 시점에 협상 테이블로 나올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과거 핵 사태 등을 감안하더라도 북한은 당분간은 대결적 자세를 풀지 않겠지만 극적인 협상 가능성을 마련하기 위해 여기자 문제 등을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호열 고려대 교수는 "북한은 결국 내부 단속을 위해 유엔 제재에 강력 대응 모드를 유지하면서도 물 밑에서는 협상 테이블로 미국을 끌어내기 위해 여 기자 석방문제를 이용하는 전략을 구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수진/장성호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