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전통적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가 2차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에 강경 대응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지난 4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때와는 사뭇 다른 태도여서 주목된다.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27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강력한 대북제재 결의를 마련하는 작업에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국제사회가 일치돼 있어 기쁘다"고 밝혔다. 외교 소식통들은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의 새 제재안이 발효되기 전 북한이 안보리의 요구를 준수토록 엄중한 시한을 주자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고 전했다. 로켓 발사 때는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결의안 채택이 무산되고 이보다 강도가 약한 의장성명이 발표되는 데 그쳤다.

중국의 태도 변화 분위기는 곳곳에서 확인된다. 대북정책의 사령탑인 시진핑 국가 부주석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이상희 국방부 장관과 만나 2차 핵실험을 거듭 비난하고 "핵 실험 이후 북한이 더이상 상황을 악화시켜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중국군 관계자들은 한국의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전면 참여에 대해서도 크게 반대 의사를 표시하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이와 관련,베이징 외교가는 중국이 대북정책을 재검토하고 있다는 관측이 강하다. 중국의 대북 압박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이 일본과 한국의 핵 무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식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러시아도 지난 25일 북한의 2차 핵실험이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26일 불과 이틀 후로 예정된 북한과의 통상경제 및 과학기술위원회 개최를 무기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27일에는 러시아 외무부가 모스크바 주재 북한대사를 소환해 다시 유감을 표명하면서 6자회담 복귀를 촉구했다. 러시아 국방부는 북한에 대한 군사적 감시활동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김홍열/베이징=조주현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