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4월은 곳곳이 지뢰밭이다.

한반도 정세를 흔들 수 있는 악재가 산재해 있다. 시발점은 북한의 로켓 발사다. 북한은 4~8일에 로켓 발사를 예고해 놓은 상태다. 북한이 로켓 실험 발사를 성공적으로 끝낸다면 직접적인 핵 위협에 놓이게 되는 미국은 더이상 북한의 양자대화 요구를 지금처럼 무시할 수만은 없게 된다. 이 경우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제재 논의와 더불어 북 · 미 양자 차원의 군사위협 해소 방안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일본도 북한의 로켓 발사를 핑계삼아 군사대국의 야욕을 드러낼 가능성이 있어 한반도 정세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다.

북한의 로켓 발사는 본격적인 유엔 안보리의 제재논의로 이어진다. 제재에 적극적인 한 · 미 · 일과 회의적인 중 · 러 간의 자존심 싸움이 외교분쟁으로 비화될 수도 있다. 북한은 유엔제재가 논의될 경우 6자회담 불참과 2차 핵실험 가능성까지 내비친 상태다.

또 우리 정부가 북한 로켓 발사에 대한 제재의 일환으로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 북한과 다시 한번 각을 세울 전망이다. PSI 참여가 확정되면 북한 선박에 대한 단속이 강화돼 북한과의 물리적 충돌도 예상할 수 있다.

북한 내부적으로는 9일 '3기 김정일 체제' 출범을 통한 김정일 친정 체제 강화와 내부 결속을 도모하기 위해 대남공세 수위를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여기자와 현대아산 직원에 대한 억류도 변수다. 북한은 현대아산 직원 억류 3일째인 1일에도 접견 · 변호인 입회를 계속 불허하면서 미 여기자와 함께 억류사태를 장기화시킬 태세다. 두 사건이 원만히 해결된다면 북한의 로켓발사 이후 조성될 제재 분위기가 완화되겠지만 장기화된다면 대북제재에 대한 국제사회의 여론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4월을 맞이한 한반도의 긴장이 증폭되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로 구성된 '새로운 출발 정책연구그룹'은 31일 워싱턴에서 보고서 발표를 통해 오바마 행정부에 "6자회담을 계속해야 하며,그 틀 내에서 북한과 양자협상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