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북한이 국제해사기구(IMO)에 로켓낙하 위험지역으로 지정한 좌표가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발사장에서 650∼3600km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정부에 따르면 북한이 최근 ‘우주발사체’ 발사와 관련,위험지역으로 각각 지정한 동해상과 태평양 해상의 좌표를 거리로 환산하면 발사장으로부터 각각 650km,3600km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3단 로켓으로 이뤄진 발사체의 1단은 650km 동해상에,2단은 3600km의 태평양 해상에 각각 떨어질 것이라고 예고한 것이다.마지막 3단 로켓은 대기권 밖에서 인공위성을 우주궤도에 진입시킬 때 사용된다.

2단 로켓이 예고한 지점에 낙하하면 북한은 로켓 사거리를 10여 년 만에 배 이상 늘리게 된다.북한이 1998년 8월31일 쏘아 올린 ‘대포동 1호(북한명 광명성1호)’는 무수단리로부터 1620km 거리 해상에 낙하했기 때문이다.당시 북한은 인공위성 궤도 진입을 목적으로 3단계 미사일로 추정되는 ‘대포동 1호’를 발사했으며 3단계 추진은 실패했지만 1,2단 로켓은 성공한 것으로 평가됐다.

북한이 실제 로켓의 사거리가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제기구에 자신있게 2단 로켓의 낙하지점을 제시한 것은 미사일 시뮬레이션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올라있음을 방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북한이 2007년 실전 배치한 사거리 3000km 이상의 신형 중거리미사일(IRBM)도 실제 발사과정을 거치지 않고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한 뒤 전력화한 것으로 군은 평가하고 있다.이란과의 미사일 기술 협력 또한 자신감의 배경이 됐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