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호남 지역위원장 `쟁탈전'
통합민주당의 `텃밭' 호남에서 지역위원장 자리를 차지하려는 쟁탈전이 뜨겁다.
지역위원장은 해당 지역의 대의원 선출에 적잖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차기 총선 공천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예비공천의 성격이 짙기 때문에 4년 뒤 19대 총선과 2년 뒤 지방선거를 기약하는 인사들이 앞다퉈 도전장을 내밀면서 지역위원장 공모는 `제2의 공천 경쟁'을 방불케 하고 있다.
민주당이 지역위원장을 공모한 호남 지역구는 총 31곳중 광주 남구, 전남 목포와 무안.신안, 해남.완도.진도, 전북 전주 완산갑과 정읍 등 무소속 출마자 당선으로 `무주공산'이 된 6곳.
나머지 25곳에서는 현역 의원이 자동으로 지역위원장으로 내정되면서 낙선.낙천자들이 비집고 들어갈 공간이 없는 상황.
민주당이 지난달 28일 공모를 마감한 결과, 호남 6곳의 평균 경쟁률은 4대1로, 전체 공모 대상 지역 126곳의 평균 경쟁률(2.1대1)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광주 남구의 경우 10명이 몰려들어 `바늘구멍' 경쟁을 예고했다.
지병문 전 의원을 비롯해 정기남 전 정동영 대선후보 공보특보 등 총선 당시 이 지역에 신청했던 7명이 지원했고, 총선 때 광주 서갑에 신청했던 유종필 대변인도 이곳에 고개를 내밀었다.
이재천 당 사무부총장, 황일봉 남구청장 등도 가세했다.
이 지역에서 당선된 강운태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검찰에 기소되면서 일각에서 재.보궐 선거 가능성이 제기되는 점도 높은 경쟁률에 한 몫 했다는 후문이다.
전남 목포는 4명, 무안.신안은 3명, 해남.진도.완도는 2명이 각각 공모에 응했고 전북 정읍과 전주 완산갑에서 각각 2, 3명씩 신청했다.
광주 남구, 전남 목포에 각각 도전한 이재천, 김종현 사무부총장이 지역위원장 심사를 담당하는 당 조직강화특위 위원을 맡은 것을 두고 해당 지역의 타 후보들이 "심사의 공정성이 우려된다"며 문제를 제기하는 등 신경전도 가열되고 있다.
또 지역위원장 선출은 당권 경쟁의 향배에도 변수가 될 전망이어서 당권주자들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당내 계파간 물밑 수싸움도 전개되고 있다.
여기에 무소속 배지들이 늦어도 7.6 전대 후에는 복당될 것으로 점쳐지면서 이들의 원대복귀 후 지역내 주도권을 놓고 지역위원장과의 기싸움도 예상된다.
당 조강특위는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압축작업을 진행 중이며 늦어도 7일까지는 지역위원장 선정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1일 현재 전체 지역구 245곳 가운데 비(非)공모지역 119곳과 공모지역 44곳 등 163곳의 지역위원장이 확정됐다.
한편 공모 대상 지역 126곳 가운데 경기 평택을과 이천.여주, 울산 남구갑, 경북 구미을과 군위.의성.청송 등 5곳은 신청자가 아예 없었고, 단수 신청 지역이 51곳, 복수 지역이 70곳이었다.
호남을 제외하면 서울이 해당 선거구 20곳에 62명이 지원(3.1대 1)해 호남 다음으로 경쟁률이 높았으며 2배수를 넘긴 곳은 인천과 경기, 대전, 충남 등에 그치는 등 지역별로 양극화 현상도 뚜렷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
지역위원장은 해당 지역의 대의원 선출에 적잖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차기 총선 공천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예비공천의 성격이 짙기 때문에 4년 뒤 19대 총선과 2년 뒤 지방선거를 기약하는 인사들이 앞다퉈 도전장을 내밀면서 지역위원장 공모는 `제2의 공천 경쟁'을 방불케 하고 있다.
민주당이 지역위원장을 공모한 호남 지역구는 총 31곳중 광주 남구, 전남 목포와 무안.신안, 해남.완도.진도, 전북 전주 완산갑과 정읍 등 무소속 출마자 당선으로 `무주공산'이 된 6곳.
나머지 25곳에서는 현역 의원이 자동으로 지역위원장으로 내정되면서 낙선.낙천자들이 비집고 들어갈 공간이 없는 상황.
민주당이 지난달 28일 공모를 마감한 결과, 호남 6곳의 평균 경쟁률은 4대1로, 전체 공모 대상 지역 126곳의 평균 경쟁률(2.1대1)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광주 남구의 경우 10명이 몰려들어 `바늘구멍' 경쟁을 예고했다.
지병문 전 의원을 비롯해 정기남 전 정동영 대선후보 공보특보 등 총선 당시 이 지역에 신청했던 7명이 지원했고, 총선 때 광주 서갑에 신청했던 유종필 대변인도 이곳에 고개를 내밀었다.
이재천 당 사무부총장, 황일봉 남구청장 등도 가세했다.
이 지역에서 당선된 강운태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검찰에 기소되면서 일각에서 재.보궐 선거 가능성이 제기되는 점도 높은 경쟁률에 한 몫 했다는 후문이다.
전남 목포는 4명, 무안.신안은 3명, 해남.진도.완도는 2명이 각각 공모에 응했고 전북 정읍과 전주 완산갑에서 각각 2, 3명씩 신청했다.
광주 남구, 전남 목포에 각각 도전한 이재천, 김종현 사무부총장이 지역위원장 심사를 담당하는 당 조직강화특위 위원을 맡은 것을 두고 해당 지역의 타 후보들이 "심사의 공정성이 우려된다"며 문제를 제기하는 등 신경전도 가열되고 있다.
또 지역위원장 선출은 당권 경쟁의 향배에도 변수가 될 전망이어서 당권주자들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당내 계파간 물밑 수싸움도 전개되고 있다.
여기에 무소속 배지들이 늦어도 7.6 전대 후에는 복당될 것으로 점쳐지면서 이들의 원대복귀 후 지역내 주도권을 놓고 지역위원장과의 기싸움도 예상된다.
당 조강특위는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압축작업을 진행 중이며 늦어도 7일까지는 지역위원장 선정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1일 현재 전체 지역구 245곳 가운데 비(非)공모지역 119곳과 공모지역 44곳 등 163곳의 지역위원장이 확정됐다.
한편 공모 대상 지역 126곳 가운데 경기 평택을과 이천.여주, 울산 남구갑, 경북 구미을과 군위.의성.청송 등 5곳은 신청자가 아예 없었고, 단수 신청 지역이 51곳, 복수 지역이 70곳이었다.
호남을 제외하면 서울이 해당 선거구 20곳에 62명이 지원(3.1대 1)해 호남 다음으로 경쟁률이 높았으며 2배수를 넘긴 곳은 인천과 경기, 대전, 충남 등에 그치는 등 지역별로 양극화 현상도 뚜렷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