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연말 강행설 팽팽..美태도변화 주시

북한은 끝내 핵실험을 강행할까.

지난 주말 핵실험 임박설로 한반도 주변에 먹구름을 몰고왔던 이른바 '10월 위기설'(October crisis)이 일단 긴박한 고비를 넘기긴 했지만 미국과 일본 당국은 여전히 핵실험 강행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8일 역사적인 첫 중국 방문을 마친 뒤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 주목을 끌었다.

아베 총리가 어떤 근거로 북한의 핵실험 강행 가능성을 강조했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미일 정보당국의 긴밀한 정보교환을 토대로 했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현재 미국과 일본의 정보 관계자들은 북한이 미국의 양보를 이끌어내기 위해 조선노동당 창건 기념일인 10일이나 미국의 중간선거일인 11월7일을 '거사일'로 잡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기를 못박기는 힘들겠지만 미국의 양보가 없는 한 북한이 끝내 핵실험을 강행한다는 쪽에 여전히 무게를 싣고 있다.

다만 특히 올 연말 실험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쪽은 미국이 뉴욕 채널을 통해 핵실험에 대한 강력한 경고를 전달한데다 최대 우방이었던 중국마저 핵실험에 관한 한 미.일쪽에 가담하는 상황에서 핵실험을 강행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강경파인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은 "북한이 핵기술을 테러단체들에게 판매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핵실험을 하고 이 기술을 확산시킨다면 한반도에 질적으로 다른 상황을 조성하고 우리는 다소 다른 세상에 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도 지난 6일 북한의 핵실험 선언을 강력히 규탄하는 의장 성명을 채택했고 중국과 일본 정상도 이날 대북 핵실험 불용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했다.

아울러 미국은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면 ▲북한의 모든 경제금융거래 차단 ▲북한의 모든 교역품에 대한 해상 검문검색 ▲한국과 중국에 대북 에너지 등 지원 미교역을 중단토록 요구하는 방안 등 전면적인 제재(full scale sanction)로 대응할 것이라고 뉴욕 타임스는 보도했다.

이런 저간의 사정 때문에 한국은 물론 미.일.중 등 주변국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비한 경계태세와 긴장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특히 미국 정보당국은 현재 북한의 핵실험 의심 주변지역에서 차량과 장비의 움직임은 일부 포착했지만 이것이 핵실험 강행을 뒷받침할만한 결정적 증거라고 보지는 않는 것 같다.

그러나 북한의 지난 7월초 미사일 발사 때처럼 김정일(金正日) 위원장의 판단에 따라 언제든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하는 분위기다.

우리 정부 당국자가 "북한의 핵실험이 지하에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눈에 뚜렷히 보이지 않는다 해서 핵실험 계획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상황을 계속 주시하면서 여러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따라서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은 여전히 상존하며 김 위원장이 미국의 태도를 봐가며 핵실험 시기를 저울질 하지 않겠느냐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북한은 미국이 숨통을 죄고 있는 김 위원장과 가족의 계좌가 개설돼 있는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BDA) 자산동결을 해제해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대북 금융제재의 고삐를 늦추지 않는 한 북핵 6자회담 복귀는 없고 핵실험도 강행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북한의 '핵실험 카드'는 대미 협상용일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 핵실험 여부는 미국의 태도 여하에 달린 게 아니냐는 것이 중론이다.

이런 가운데 영국의 텔레그래프 신문의 평양 특파원은 북한이 미국에 석달의 말미를 줬다면서 북한이 핵실험을 해도 연말에나 할 것이라고 보도, 관심을 끌고 있다.

또 동북아평화포험의 장성민 대표는 북한 정부가 미국이 협상에 응할 경우 핵실험 준비를 중단할 것이라는 뜻을 중국 정부를 통해 전해왔다고 주장했다.

결국 북한은 당분간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 정책의 변화를 지켜보면서 한국과 중국, 일본 등 주변국과 밀고 당기는 시소 게임 속에 핵실험 시기를 저울질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현재로선 우세하다.

(워싱턴연합뉴스) 조복래 특파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