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장관 인사 문제를 놓고 벌어졌던 당청 간의 불협화음이 6일 청와대 오찬회동을 통해 일단 봉합됐다.

김근태 의장은 문재인 전 청와대 수석이 법무장관에 임명돼서는 안 된다는 자신의 의견이 "언론에 공개되는 방식으로 청와대에 전달된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사실상 사과의 뜻을 전달했고,노무현 대통령도 오찬 도중 수차례에 걸쳐 "(당의 의견을) 경청하겠다"며 당의 불만을 다독거렸다.

우상호 당 대변인은 이날 모임에 대해 "결과적으로 잘됐다.

시작할 때는 긴장했는데 끝날 때는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날 회동으로 당청 간의 갈등이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합의 자체가 더 이상 파열음을 내서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에 따른 것이지 국정운영의 원칙을 공유한 결과물은 아니다.

벌써부터 재벌정책방향 등을 놓고 마찰을 빚고 있다.

당장 논란의 핵심인 문 전 수석의 법무장관 기용여부에 대해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당청 갈등의 뇌관을 그대로 남겨놓은 셈이다.

대통령의 "인사권을 존중해달라"는 언급은 문 수석의 기용에 대해 "불만이 있더라도 받아들여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경청하겠다"는 표현 역시 '수용하겠다'는 뜻과는 거리가 있다.

문 전 수석 기용에 대한 강한 의지표현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현 여권 내의 기류로 볼 때 노 대통령이 문 전 수석 카드를 강행할 경우 당청관계는 또 다시 걷잡을 수 없는 파국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당의 인사권 존중이 문 전 수석의 임명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며 이미 당은 부정적 의견을 청와대에 전달한 상태다.

당·정·청 협의기구 구성 역시 해결책은 아니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과거에도 11인회와 같은 당청 간 논의의 틀은 있었다.

갈등이 불거질 때마다 등장한 게 바로 협의기구다.

문제는 청와대와 당의 현실인식과 목표가 다르다는 데 있다는 점을 당청 모두 모를리 없다.

아직은 결별할 때가 아니라는 당청 간 암묵적인 합의에 따른 '불안한 동거'의 연장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노 대통령으로서는 적어도 연말까지는 국방·사법개혁 등을 위한 여당의 도움이 필요하고 당 역시 지금 갈라서면 정계개편의 대상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있다.

노 대통령이 열린우리당을 '큰 배'에 비유하며 "좋은 기회가 올 것"이라고 밝힌 것도 여당의 이러한 딜레마를 넘겨 짚고 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