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추진체 분리前이 '적기'
전문가들, 美요격성공에 무게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끝내 대포동 2호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미국이 요격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그 가능성과 성공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사일 카드'를 이용한 북한의 흥정을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미국이 미사일을 공중에서 요격, "본때를 보여줄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미국은 실제 대포동 2호를 요격할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북한이 막판에 발사를 철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미국, 요격에 나서나

정부 소식통이나 국내 군사 전문가들은 대포동 2호가발사될 경우 미국이 이를 공중에서 요격하는 조치를 취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18일 "미국이 이지스함을 동해상에서 북한쪽으로 근접 배치해 요격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숀 매코맥 미 국무부 대변인도 미 현지시간으로 16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과 관련, 자위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혀 `자위적 조치'에 요격이 포함된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도 지난 14일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경우 미국은 적절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서울의 군 관계자는 이날 "미국은 북한이 1998년처럼 미사일을 발사한 후 흥정을 하려는 태도를 인정할지 않을 것"이라며 "따라서 미국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면 요격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관측했다.

미사일 요격에 나섰다가 실패할 경우 미국으로서도 상당한 부담을 안을 것으로 보이지만 미국은 요격에 상당한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미국의 이같은 자신감 때문에 대포동 2호 발사를 서두르고 있는 북한이 막판까지 주판을 튀기다 결국 발사를 포기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대포동 2호가 공중에서 요격당할 경우 `미사일 카드'로 미국을 압박하려는 북한의 의도가 좌절되는 것은 물론 미사일 관련 기술 수출을 통한 외화벌이에도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요격하나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대포동 2호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동해상에 배치된 잠수함에서 크루즈미사일을 발사해 타격을 시도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발사대를 떠난 대포동 2호의 궤적, 속도 등 관련 정보를 인공위성을 통해 전달받는 것은 물론, 크루즈미사일에 유도장치가 장착돼 정확도가 높다는 것이다.

또 많이 거론되는 요격 방법으로는 동해상에 배치된 미 이지스함(이지스급 무기체계를 갖춘 함정)에서 스탠더드 미사일인 SM-3를 발사해 대기권 밖에서 대포동 2호를 요격하는 방안이다.

SM-3를 통해 대기권 밖에서 1차 요격을 가한 뒤 대기권 안쪽으로 떨어지는 미사일을 지상에서 `지상발사형요격미사일'(PAC3)로 요격하는 방안도 있는 것을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 "미사일을 `부스터 단계'(booster pahse)에서 요격하면 미사일이 바로 주저앉기 때문에 2차 요격이 굳이 필요없다"고 지적한다.

미국은 당초 동해상 이지스함에 오는 8월부터 SM-3 미사일을 실전배치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오는 8월부터 실전배치 계획을 잡았다면 미사일아 이미 배치돼 운용 중인 것으로 봐야 한다"며 SM-3를 통한 요격이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요격 시점은 총 3단계의 추진로켓으로 이뤄진 대포동 2호에서 1단계 로켓이 떨어져 나가고 2단계 로켓이 분리되기 전이 가장 적절한 시점이라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 단계는 이른바 `부스터 단계'(booster phase)로 2단계 로켓이 분리될 경우 속도가 더 떨어져 요격하기 가장 좋은 시점이라는 설명이다.

물론 기술적으로는 미군이 운용중인 F-15 전투기가 북한의 대포동 2호 발사직전 미사일 기지를 초토화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는 북한에 대한 일종의 `선제공격'이라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미사일 요격 기술이 정밀한 기술을 요하는 만큼 미국의 요격 성공을 100% 장담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따라서 미국이 요격에 성공하면 `자위적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할 가능성이 있는 반면, 실패할 경우 아무런 언급없이 그냥 넘어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lkw77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