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장성급 군사당국자 회담을 늦어도 오는 5월 이전 열기로 남북이 합의함에 따라 정부는 회담절차와 논의내용 등 준비작업에 착수했다. 우리 정부는 현재 남북간에 진행중인 군사 회담은 경협에 관련된 군사 실무적사안에 국한돼 있는 데다 대령급이 맡고 있어 남북간 군사적 신뢰구축이나 한반도군사적 긴장 완화라는 보다 큰 틀의 합의를 이루는데는 미흡하다고 판단, 책임있는장성급 회담을 통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은 92년 8차례의 군사분과위 접촉과 2000년 9월의제1차 국방장관회담, 2000년∼2003년 19차례의 군사실무회담과 군사실무회담 수석대표간 접촉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에 열릴 장성급회담과는 성격이 사뭇 다르다. 군사분과위 접촉은 비록 장성급 접촉이었지만 총리를 대표로 하는 고위급 회담이라는 틀내에서 남북기본합의서 불가침분야 부속합의서 타결을 위한 하나의 분과였다. 대령급 접촉인 군사실무회담 역시 철도ㆍ도로 연결을 위한 군사적 보장문제를협의하는 등 경협사업 추진과정에서의 기초적인 협의에 한정돼 있다. 따라서 군사문제 해결을 위한 단독 장성급 접촉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어서 실질적인 남북간 군사협력을 이뤄낼 것으로 기대된다. 때문에 군사 당국간의 별도 사전접촉이 필요없었던 군사분과위 회의와 달리 이번 장성급회담은 논의내용과 대표의 계급, 대표단 인원수 등을 협의하는 예비접촉이필수적이다. 남북 양측도 회담 사전단계로 기존에 개설돼 있는 남북 군사직통전화를 통해 논의해 나가기로 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직접 만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번 장성급 회담이 1차 회담 이후 열리지 못하고 있는 2차 국방장관회담의 징검 다리 역할을 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어 사전에 충분한 접촉을 통해 만전을기해야할 입장이기 때문이다. 대표 계급과 관련, 92년 남북군사분과위 회의 당시 남측은 당시 소장으로 군비통제관이었던 박용옥 전 국방부차관이, 북측은 김영철 소장(육군 준장에 해당)이 각각 위원장을 맡았던 전례에 비춰 이번 장성급 회담 역시 대북관계를 책임지고 있는군비통제관 등 소장급 이상이 맡게 될 가능성이 높다. 논의 내용도 장관급회담 합의에 따라 일단 서해상의 우발적 군사충돌 방지를 위한 연락체계 확보 등을 중심으로 다루되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공동대처 등도 논의대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8일 "장성급 회담의 구체적 논의내용은 통일부 등 타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국방부 주도로 이끌 것"이라며 "아무래도 서해상 충돌방지 문제가 장관급회담에서 거론된 만큼 이를 중심으로 풀어나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박 전 국방차관은 "회담이 열리면 한반도 군사 문제는 남북이 당사자로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야 하며 미국에도 이같은 입장을 전해야 한다" 며 "북한이진정으로 남북한 신뢰구축과 군사적 긴장완화에 대한 의지가 있다면 응할 것"이라고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