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의 300억원대 비자금이 대선자금 수사정국의 새로운 '태풍의 눈'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우건설 비자금의 경로가 어떻게 드러나느냐에 따라 지난해 여야 불법 대선자금 규모는 물론, 노무현 대통령의 '10분의 1' 발언을 둘러싼 논란이 확대될 여지가크기 때문이다. 검찰은 지난달 26일 불법 대선자금 수사결과 발표때 대선 당시 이회창 후보 캠프에 총 502억원, 노무현 후보 캠프에 22억3천200만원의 불법 대선자금이 건네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 후보의 경우 이기명씨의 용인땅 매매대금과 최도술씨가 SK에서 받은11억원 등을 합하면 불법 자금이 61억원이 넘어 한나라당 불법자금의 '10분의 1'이넘지만 성격이 애매해 논란의 소지는 남아 있다. 현재 대우건설 비자금 중 20억∼30억원이 여야 정치권에 건네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수사 진행상황에 따라 불법 정치자금, 혹은 뇌물 규모가 늘어날 가능성도배제할 수 없다. 대우건설 비자금의 향배와 전달 경위에 대한 수사 결과에 따라선 여야 정치권이'워크아웃 기업에 기생한' 부도덕한 정당으로 몰리거나 대통령이 '10분의 1' 발언을책임지게 될 상황에 몰릴 수도 있다는 얘기다. 검찰 안팎에서는 대우건설 비자금이 트럼프월드 또는 강원랜드 등 대형공사 수주 청탁 명목이거나 김우중 전 회장의 재계 복귀 사전포석, 또는 관행적인 정치권의요구 등의 이유로 조성되고 전달됐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대우건설의 회생의 결정적 사업으로 손꼽히는 트럼프월드 시행사인 하이테크하우징이 구여권 인사들과 연관돼 있다는 검찰 첩보나 김우중 전 회장이 출국과 관련해 구 여권과 교감이 있었다는 정황 등은 여전히 의혹이 가시지 않은 대목이다. 물론 수사 결과 한나라당의 기업상대 불법 자금 수수규모가 훨씬 컸던 점과 지난해 대선 정국 상황을 감안하면 한나라당쪽에 건네진 대우건설의 '떡밥'이 더 커질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대선자금 수사를 반년 넘게 진행해온 대검 중수부와 정대철 의원을 긴급체포할 만큼 대우 비자금 수사에 강한 의욕을 보이는 서울지검이 서로 `대선자금 많이 캐기' 경쟁에 나서는 양상도 수사 결과에 상당한 변수로 작용하지 않을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김상희 기자 lilygardene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