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지난해 전당대회의 당헌 개정을 통해지역구 국회의원 후보 결정 방식중 하나로 새로 도입한 여론조사 경선방식에 대해당내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민주당 당헌은 국민참여경선과, 전당원경선, 여론조사 등 3가지 경선방식 중에서 지구당별로 한가지를 선택, 경선을 치르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당 지도부와 정치신인들은 여론조사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기존 당원 50%와 신규 당원 50%로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국민참여경선이나 100%당원이 참여하는 전당원경선의 경우에는 사실상 지구당을 장악하고 있는 기존 위원장의 기득권이 보장돼 불공정 경선 논란이 벌어질 수 있고, 기성 정치인에 대한 유권자들의 `물갈이' 여론도 반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여론조사는 당내 세력을 갖고 있지 않은 정치신인들에게 가장 공정한방식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기존 지구당 위원들 대다수는 여론조사보다는 국민참여경선과 전당원경선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론조사 방식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상대당 지지자들의 역선택 가능성 및 오차범위 내로 순위가 결정될 경우의 처리 문제가 복잡하다는 것이 반대측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정치 신인들은 "지난 대선에서 후보단일화가 여론조사를 통해 이뤄질만큼 여론조사 방식은 이미 객관성을 인정받았다"며 여론조사 방식에 대한 반대를 `기득권 지키기'로 공격하고 있다. 김현종(金鉉宗) 민주당 전북도지부 부지부장은 "공정성과 객관성만 보장된다면국민참여경선이나 전당원경선도 받아들일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여론조사는 다른방법에 비해 가장 많은 민의를 반영할 수 있고 경선결과 불복 등 후유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당 지도부는 조만간 ▲외부조사기관이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성별,연령별, 지역별 인구통계에 의해 표본을 추출, 신뢰도가 95% 이상 되도록 하고 ▲ 1.2위간의 격차가 오차범위 내에 있으면 이들만 대상으로 재조사를 실시하는 등 여론조사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세부규정을 확정할 계획이다. 김경재(金景梓) 상임중앙위원은 "국민참여 경선은 금권 선거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전당원 경선은 기존 지구당 위원장에게 너무 유리한 방식"이라며 "여론조사가 가장 공정한 방법이지만 후보선출 방식은 지구당별로 자율 선택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지도부가 특정 방법을 권장할 수 없다는게 고민"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일환기자 kom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