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1일 오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주재로 비공개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대미(對美) 파병협의단과 2차 이라크 조사단의 귀국 보고를 토대로 이라크 추가파병 세부계획을 집중 조율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파병 규모와 관련, 일단 `3천명 파병안'을 중심으로 논의하되 국익과 국내여론, 전통적인 한미동맹관계 등을 감안해 경우에 따라서는 이보다더 늘리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는 등 `완전 백지'상태에서 재검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날 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오는 1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연례안보협의회(SCM)에 참석하는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과 파병 규모와 시기 등을 협의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번 SCM에서 파병 규모와 부대 성격 등에 대해서는 최종 결정을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라종일(羅鍾一)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이 전했다. 라 보좌관은 수석.보좌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측이 전투병 5천명을 요구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미국이 애초 우리에게 요구한 것은 3천명 수준의 1개 여단인데 그것도 확실한 제안이 아니었다"면서 "대미협상단은 그 수준에서 1차협의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라크 파병 동의안의 국회 제출 시기에 대해 "미국은 물론, 이라크 임시통치기구, 유엔 등과 협의를 해야 한다"면서 "이번 SCM에서 파병 시기와 규모 등에 대한 상당한 협의가 이뤄지겠지만 결정이 나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상(金熙相) 국방보좌관은 파병 규모를 둘러싼 한미간 시각차에 대해 "이번 대미협상단이 우리의 최종안을 갖고 미국을 방문한 것은 아니었다"면서 "따라서 미국측 입장을 들었으니까 이제부터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파병 규모와 부대의 성격은 모두 중요하다"면서 "특히 부대 성격은 전투병과 비전투병을 구분하는게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김 보좌관은 그러나 "공병도 군의 입장에서는 전투병이 될 수 있고, 동티모르에 간 평화유지군도 알고 보면 다 특전사"라면서 "따라서 부대 성격보다는 현지에 가서 무슨 임무를 수행하는지가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는 파병 규모 등 최종 결정 시기에 대해 "국회조사단이 이달말 귀국할 예정인 점을 감안하면 빨라야 내달 초가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럼즈펠드 국방장관은 이번 방한 때 청와대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을 방문,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파병관련 입장이나 친서를 전달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안보관계장관회의에는 고 건(高 建) 총리를 비롯, 정세현(丁世鉉) 통일, 윤영관(尹永寬) 외교통상, 조영길(曺永吉) 국방장관, 고영구(高泳耉) 국정원장, 이영탁(李永鐸) 국무조정실장, 청와대의 문희상(文喜相) 비서실장, 라종일 국가안보, 반기문(潘基文) 외교, 김희상 국방 보좌관, 이종석(李鍾奭) 국가안보회의(NSC) 사무차장이 참석 또는 배석한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 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