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직접 북한의 안전에대한 문서보장 의사를 표시하고 북한이 이를 `고려할 용의'를 밝히면서 핵 문제 해결의 물꼬가 트였지만 양국간 신경전은 계속되고 있다. 부시 대통령이 대북 문서안전보장에 대한 입장을 밝힌 이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 북한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했고, 국제뉴스 전문사이트인월드트리뷴닷컴은 27일 북한이 400기의 스커드 미사일을 중동지역에 수출했으며 지난해 무기 판매량이 급증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즉각 반박했다. 조선중앙TV는 28일 중동 국가들과 미사일 거래를 하는 것은 정상적인 사업이고 주권국가의 합법적 권리라며 "부시 정권이 우리(북)의 미사일 거래설을 조작하고 불신을 조성해 다른 나라들과 미사일 거래를 차단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노동신문도 29일 논평에서 "미국이 거짓 정보를 유포시키면서 우리나라(북)에대한 국제적 제재와 봉쇄를 실시하고 군사적 압살을 위한 모략선전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부시 대통령이 지난 22일 인도네시아 방문을 마치고 호주로 향하는 미 공군1호기 내에서 김 위원장이 인민들을 굶주리게 하고 있다고 비난하자 조선중앙통신은 28일 `대북 서면 안전보장' 발언의 진의를 의심케 하는 발언이라고 불쾌감을 나타냈다. 북한은 또 제네바 기본합의 불이행에 대해서도 불만을 계속 토로하고 있다. 중앙통신은 28일 북한은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탈퇴했기 때문에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안전협정을 준수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고, 29일에는 `미국은 조미기본합의문을 일방적으로 파기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제목의 보도물을 내보냈다. 제네바합의와 관련한 북한의 공세는 지난달 19일 IAEA가 북 핵 결의안을 통해 핵 안전조치 이행을 촉구한 데 대한 반박이기도 하지만 앞으로 예상되는 미국과 협상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미국이 지난해 12월 중단한 중유제공 의무 이행과 경수로 건설 및 건설지연에 대한 보상 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미 양국간 신경전은 앞으로 핵 문제 해결을 위해 풀어야 할 난제가 적지 않음을 시사한다. (서울=연합뉴스) 강진욱기자 kj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