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의 규모와 관련, 인력 숫자에 집착하지말고 주한미군이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국방연구원(KIDA) 이명철 연구위원은 27일 "주한미군의 적정규모 문제는 배치전력 구조에 중점을 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주한미군의 전체적인 인력규모는 줄어들 가능성이 높지만 전력수준은 현 상태에서 줄어들 가능성은 낮다"며 "적어도 육군 1개여단은 경(輕)전투여단으로 교체되고 전방에 전개된 육군기지가 축소되는 반면 중부지역 공군 및 정보적관련 기지규모는 현상유지 또는 다소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와 관련 "미국은 해외주둔 미군전력에서 지상군의 역할의 비중을 줄여나갈 것이며 이는 동아시아에도 그대로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주한미군 인력축소는 대북 문제에서 한국의 외교적 수단으로 사용할여지를 주는 것은 물론 주한미군에 부정적 시각을 가진 국민에 대한 통합적 차원의수단이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숫자에 미련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주한미군의 보병규모 축소 가능성과 관련, "미국의 미래군사력건설의 기본전략은 장거리.정밀 타격무기 및 미사일 방어(MD) 등의 첨단무기를 통해적을 압도한 뒤 지상군으로 전쟁을 마무리하는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 지상군 전력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은 전방지역 지상방위와 분쟁지역 접근로 보호 등의 임무수행에 한국을 강력한 후보국으로 상정하고 있는데 이는 동북아 지역에서의 지상작전 수행과정에서 한국군의 기여를 일정 기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며 "해.공군이 동원되는 경우 필요 물자.병력 및 기지의 제공을 기대한다고도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장기적으로 미국은 원거리 타격과 미사일 방어에 대해 한국의 강력한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며 "이는 한국을 주요 중간기지나 기반기지로 사용할 수 있다는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