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라크 추가 파병 방침을 발표한 뒤 파병이 가져올 외교적 파장을 예의주시하면서 후속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정부는 비교적 신속한 이번 파병 결정이 우선 한.미 동맹을 강화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은 그동안 한국과 일본이 미국의 아시아내 대표적 동맹국으로서 이라크 재건 지원에 선도적으로 나설 줄 것을 희망해왔다. 따라서 이라크 파병 결정이 북한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주한미군 재조정 등한.미동맹 조정 등 한.미 외교현안에서 입지를 강화하는 '지렛대' 역할을 할 수도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정부는 그동안 북핵 6자회담이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선 미국이 대북 안전보장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던 만큼이번 파병이 미국의 정책방향을 움직이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또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이라크 파병과 재건분담금 공여에서 기여할 가능성이 높아져 아.태지역의 대표적 군사동맹인 한.미.일 3각 동맹도 더욱 공고해지는 계기가될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라크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돼 이라크 재건지원이 국제적 승인을 받은 만큼 이라크 파병이 외교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가능성은 일단 낮다고 보고 있다. 특히 미국이 유엔 안보리내 아랍권 대표국인 시리아의 찬성까지 얻어낸 점이 우리 정부의 이라크 추가파병에 대한 중동국가의 반감을 무마하는 데 상당히 기여할것이란 판단이다. 정부 관계자는 "중동국가들은 유엔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됐고 이라크의 조기 안정이 지역이익에도 부합하기 때문에 치안유지군 성격의 파병에 대해 반발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중동국가의 반응을 지켜본 뒤 필요하다면 각국에 파병에 대해 설명하는방안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북한이 그동안 한국의 이라크 파병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해온 만큼남북관계와 6자회담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한은 그동안 노동신문과 조선중앙방송 등을 통해 "이라크전은 똑똑한 명분도없이 국제사회와 세계 여론을 무시하고 감행한 반인륜적인 침략전쟁"이라고 규정하고 "미국의 파병요구에 맞장구치는 것 자체가 미국의 이라크전쟁을 정당화, 합리화하는 범죄행위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북한의 이같은 태도는 한미 공조체제 이완과 남남갈등 조장 등을 조장하기 위한속셈과 함께 "이라크 다음은 우리 차례"란 위기의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북한이 당분간 파병 문제를 북핵 및 남북대화 유보의 빌미로 이용할수는 있겠지만 유엔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된 상황에서 대화자체를 거부하는 구실로 삼지는 못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