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입영자들이 학교에서 배운 전공이나 특기(자격증) 등을 군대에서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국방위 강창희(한나라당) 의원은 2일 병무청에 대한 국감에서 "신병의 사회 적성과 군 특기가 일치되는 비율이 육군의 경우 37% 수준에 불과, 입소 후 특기교육을 위한 인적, 물적 자원 낭비와 사병들의 사기 및 근무능력 저하로 전략 약화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2000년 43.5%에 이르던 사회 적성과 군대 특기 일치 비율이 2001년 37.8%,2002년 37.7%로 해마다 감소 추세에 있다"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사회 적성과 군대 특기의 일치율이 낮은 주요 요인은 병무청의 적성분류제도와 각군의 특기 분류제도의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다"며 "실제 육군은 직무중심으로 특기를 236개로 구분하고 있으나 병무청은 사회 적성중심으로 12개의 대분류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징병검사 후 입영 때까지의 공백 기간에 새롭게 취득한 특기 등에 대한추적, 파악시스템이 없어 일치율을 낮추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병무청 관계자는 "입영자들이 입영 시기를 선택해 입대하는 현행 제도 특성상 군에서 필요로 하는 적성별로 충원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라며 "육군과 협의해 군사특기와 연계된 적성분류 체계를 표준화해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개인별 적성조성 신청제도도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대전=연합뉴스) 윤석이 기자 seoky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