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재단과 미국 맨스필드재단이 29일 서울 매리어트호텔에서 공동 개최한 `비정부기구(NGO)의 대북한 활동' 주제의 학술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은 NGO들의 대북 지원활동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북한당국의 정치적통제를 꼽았다. 스캇 스나이더 아시아재단 서울 대표는 "외국 NGO들의 인도주의 활동과 활동영역에 대한 북한당국의 정치적 제한은 NGO 내부의 의견대립을 초래했다"며 "일부 NGO들과 유엔기구들은 북한의 정치적 제한을 조용히 받아들이고 일부 필요한 북한 주민들의 기본적인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내부에서 보다 효과적 인도주의 활동환경을 모색하는 반면, 나머지는 북한당국의 제한조치에 반발해 떠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의 정치적 통제가 결국은 "북한에 대한 외부세계의 선의의 지원이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한편 북한으로 하여금 변화를 위한 외부의 더 큰 압력을 초래할 수 있는 실질적 동기를 자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북한이 인도주의 지원노력의 정치적 영향을 통제.제한하려는 시도에도불구하고 NGO의 존재는 특정분야의 북한 테크노크라트들에게 외부세계의 정보를 더많이 알려주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그는 평가했다. 엘. 고든 플레이크 맨스필드재단 사무총장은 "여러 소규모 미국 NGO들이 미 국무부를 상대로 북한의 기아구제에 더 큰 관심을 돌리도록 설득했지만 너무도 많은정치적 부대조건이 걸려 결국 북한에서 지원활동이 지속될 수 없게 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한국의 많은 사람들은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뭔가 변할 것이라고생각하고 있는 것 같은데 외국의 NGO들의 경험에 비춰보면 북한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하엘 슐롬스 유럽국제정치위원회 연구원은 "북한에서의 인도주의 활동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 협조의 부족 때문에 유럽인들이 좌절을 겪었다"며 `국경없는 의사회', 기아반대활동, 옥스팜 등 일부 NGO들로 하여금 인도주의적 원조를 직접 제공하기 어려운 조건에서 일하느니 차라리 북한에서 철수하도록 만들었다고 토로했다. 전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정옥임씨는 "햇볕정책의 출현과 함께 한국 NGO들의 대북 인도주의 활동을 위한 공간이 훨씬 넓어졌고 정부의 자금지원도 이뤄졌지만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관심의 초점은 남북 당국자간 공식관계로 옮겨져 한국NGO들에대한 관심은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선영기자 chs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