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이 제1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마침에 따라 후속 권력구도개편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김정일 현 국방위원장은 지난 1998년 9월 3일 내외에서 국가주석직 선출 가능성을 점치는 가운데 제10기 1차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방위원장으로 재추대됐다. 당시 최고인민회의에서는 사실상 국가주석직을 폐지하고 국방위원회 중심의 정책결정 시스템을 구축했다. 따라서 이번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통해 김정일 위원장 중심의 권력기반을 공고히 한 북한이 어떠한 정치 시스템을 만들갈 지 관심이 모아지는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10일 "아직 북한이 어떠한 방향으로 정치 시스템을 만들어갈 지 알 수 없다"며 "하지만 김정일 2기 권력이 출범한 만큼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지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단 김 위원장은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추대' 형식으로 국방위원장을 맡고국방위원회가 최고 정책결정기구로 기능할 가능성이 현재로선 높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핵문제가 불거진 가운데 한반도 위기상황을 강조하면서 '선군정치'를 내세우고 있어 이같은 정치 시스템이 바뀌지는 않을 것으로 전문가은 보고 있다. 이 경우, 북한은 내달 9일 정권수립 55주년에 앞서 제11기 1차 최고인민회의를열어 김 위원장을 국방위원장으로 재추대하고 이같은 경축분위기를 정권수립 기념분위기로 이어갈 공산이 크다. 특히 국방위원회는 그동안 미국과의 관계나 핵문제를 총괄적으로 조정해 왔다는점에서 현 상태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국가주석직의 부활이나 새로운 통치기구의 설립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지만 그 가능성은 낮다는게 북한 연구자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정치 시스템 측면에서는 내각의 역할이 강화될 것으로 보는 관측이 많다. 북한이 지난해부터 경제관리개선조치를 통해 경제를 중심으로 한 국정추스리기에 나서고 있는 만큼 행정을 책임진 내각의 기능이 강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북한이 이번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당.정.군의 실무책임인사를 중심으로 꾸렸다는 점에서 기술관료 중심의 인사도 전망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선거에서 북한은 그동안 정권유지의 핵심역할을 해오던 인물은 거의 그대로 유임시켰다"며 "따라서 급격한 권력변화는 없지 않겠느냐"고 조심스럽게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jy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