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6자회담 수용 입장을 우리 정부에 공식 통보한 것으로 1일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언제 6자 회담이 성사되고 주요 의제가 무엇이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회담 시기에 대해서는 사안이 중대하고 시간 여유가 없는 만큼 8월중 성사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큰 틀의 회담 형식이 결정된데다 8월말이면 경수로사업이 중단될 운명에 처해 있고 10월에는 미국 주도로 대량살상무기(WMD) 확산방지구상(PSI)과 관련된 합동훈련이 예정돼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북한이나 다른 관련국들이나 일단 협상을 시작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6자 회담으로 가기위해서는 회담에 참여하는 양대 진영, 즉, 한-미-일,북-중-러의 자체 조율도 필요하다. 예를들어 한-미-일은 기존에 가동중인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나 다른형식의 조율 장치를 통해 사전에 입을 맞춰야한다. 양대진영은 특히 회담 시기와 장소 등을 논의하기 위한 사전 조율 과정도 거쳐야 할 전망이다. 6자 회담의 장소는 이미 북미간 수시 협상 채널로 활용된 베이징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물론 97~98년 4자 회담 개최장소인 스위스 제네바와 러시아의 참여에 따른 러시아 현지 등 제3의 장소도 배제할 수 없다. 예상 회담 의제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대목은 미국이 과연 어떤 형식으로 북한의 체제를 보장하느냐이다. 그간의 한미 정부 당국자들, 전문가들의 분석에 비춰 볼때 조약과 구두 약속의중간 단계인 회담 참가국들의 공동성명을 통해 북측의 안전보장을 약속하는 형태로 체제 보장과 불가침 약속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또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는데 따른 경제지원, 경수로 공사의 계속 진행 방안, 지난해 12월 중단된 미국의 대북 중유공급 재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 중단, 미국의 테러국가 명단에서 북한을 제외하는 등의 사안들이 이번 회담에서 포괄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이성섭. 문관현 기자 leess@yna.co.kr khm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