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8월 하순 임시전당대회를 열어 신당관련 논란을 결론내기로 함으로써 당의 운명을 대의원들의 표결에 맡기게 됐으며, 실제 계획대로 될 경우 또 하나의 새로운 정치실험이 될 전망이다. 그동안 신.구주류는 비공식 기구를 통해 세 확산을 추진하는 한편 조정모임이라는 비공개 협상을 벌여왔으나, 전당대회에서 결판 내기로 함으로써 신당 논란이 공개적인 유세전과 득표전이라는 새로운 양상을 띄게 됐다. ◇의미 = 정당사상 전당대회를 열어 당의 존폐를 대의원들의 결정에 맡기는 것은 전례없는 일이어서 내달 하순 전당대회가 성사될 경우 당내 민주주의 확대와 관련, 국내 정당사에 중대 `사건'으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국내 정당사엔 무수한 정당의 명멸이 있었지만, 여야를 막론하고 1인보스의 지시나 과두보스간 합의에 의한 것이었고, 전당대회는 요식행위에 불과했다. 지난 2000년 1월20일 오전 새정치국민회의 전당대회를 열어 당 해산을 의결하고, 오후 새천년민주당을 창당할 때도 김대중(金大中) 당시 대통령이라는 리더의 주도하에 국민회의 내부에 신설합당에 대한 완전한 합의가 있었기 때문에 전당대회를 통한 해산은 요식절차에 불과했다. 만약 민주당이 내달초 당무회의에서 전당대회 준비위를 구성하고 일부 진통이 있더라도 실제로 전당대회가 열려 신당 창당이냐, 민주당틀을 유지한 가운데 리모델링이냐를 결정할 경우 그동안 추진돼온 당내 민주주의 확대 운동은 결정적인 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전대 결과에 불복, 이탈하는 경우도 예상할 수 있으나 전대가 큰 불상사없이 대의원 투표로 당의 진로를 결정할 경우 불복세력은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밖에 없다. 특히 민주당이 신당을 창당하든 레모델링을 하든 전대를 통해 결정할 경우 당정분리 제도가 완전 정착하는 계기가 되고, 신당으로 결정나더라도 `노무현 신당'이라는 논란 소지도 없어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 민주당이 이번 임시전대를 성공적으로 열기까지엔 많은 논란과 진통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되며, 문석호(文錫鎬) 대변인 표현대로 이번 전대엔 `위험부담'도 있다는 데 신.구주류 양측이 공감하고 있다. 일각에선 첨예한 갈등 사안인 민주당의 해산과 신당 창당 문제를 사전조율없이 1만명이 넘는 대의원 대회의 투표에 부칠 경우 전당대회장에서의 불상사 가능성을 우려하며 `무책임한 대안'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절차 = 임시 전대는 중앙위원회, 당무위원회 또는 최고위원회 의결이 있거나 대의원 3분의 1 이상 요구가 있을때 전당대회 의장이 한달 이내에 소집해야 한다. 구주류측이 7천여명의 대의원 서명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어 그것만으로도 소집이 가능하나, 내달 전당대회는 신.구주류 합의로 이뤄진 만큼 당무회의 의결 형식을 취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민주당 대의원은 중앙당 상임고문과 고문, 당무위원, 국회의원, 지구당위원장, 시도지부장, 소속 자치단체장 및 지방의원, 각 지구당 대의원대회 선출직 등 1만4천814명(지난해 4월27일 기준)으로 구성돼 있다. 가장 비율이 높은 것은 각 지구당에서 선출하는 대의원으로, 지난해 2차 전당대회 기준으로 전체 대의원의 62.2%(9천210명)를 차지한다. 중앙당 대의원이 2천209명이며 지역별로는 서울시 대의원이 2천383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도(2천121명), 전남(852명), 부산(778명), 전북(709명) 순이다. 남성이 1만497명(70.9%)으로 여성 4천317명(29.1%)보다 압도적으로 많고, 연령대별로는 20대 2%, 30대 19.1%, 40대 31.3%, 50대 25.4%, 60대 22.2% 등의 분포다. 그러나 이번 임시전대에선 전국 59개 사고지구당 소속 대의원 2천400여명과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낙선한 지방의원, 자치단체장 등 당연직 대의원 400여명이 투표권을 상실해 1만2천여명이 투표하게 될 전망이다. 당헌상 당의 해산과 합당에 관한 사항의 의결, 대표 및 최고위원의 선출, 당헌의 제정 및 개정 등 최고대의기관인 전당대회는 2년마다 한번씩 정기적으로 의장이 소집하며, 지난 2000년 민주당 창당 이후 전당대회는 2000년 8월30일과 지난해 4월27일 2번 개최돼 각각 지도부나 대선후보를 선출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일환기자 kom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