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관(尹永寬) 외교통상부 장관은 13일 "지금은 (5월 한.미 정상회담 때 거론된 대북) 추가적 조치의 내용이 논의될 단계가 아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오전 KBS 1TV '일요진단' 프로그램에 출연, "모든 외교적 노력을 소진했음에도 북한이 상황을 악화시키거나 돌이킬 수 없는 방향으로 몰아가는 경우 추가적 조치를 논의하는 것"이라며 "지금은 북한을 대화로 유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만들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윤 장관은 "유엔 안보리 논의나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은 추가적 조치가 아니라 그 이전의 대화와 압력 가운데 압력부분으로 봐야 한다"며 "외교적 분쟁협상에서 적절한 수준의 대화와 압력이 동시에 진행될 때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는만큼 우리도 압력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압력의 목표는 어디까지나 문제를 협상을 통해 풀기 위한 것"이라며 "두수단을 적절히 조화하고 구사할 때 북한이 테이블로 나와 진지한 협상을 시작할 수있다는 게 우리의 생각이고 이런 맥락에서는 미.일과 의견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또 "모든 중요한 대북정책 결정은 한국정부와 충실히 논의하겠다는 것이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과 합의됐던 내용"이라며 "그 약속은 수많은 전화통화와 외교채널을 통해 충실히 이행돼오고 있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평화.번영정책은 점진적이고 중장기적인 정책으로 경제협력과 인적.물적 교류를 통해 통일의 기반을 만드는 것이나 이는 안보의 공백상태에서 이뤄지는것은 아니다"고 지적하고 "지금 다자대화를 유도중이고 심각한 상황 악화는 아니므로 이를 계속해야 하지만 외교적 노력이 소진되고 희망이 없으면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윤 장관은 북한의 다자회담 수용 가능성과 관련, "예측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지만 조심스럽게 기대하고 있다"며 "94년 (1차 북핵) 위기가 약 2년 걸렸는데 (이번도) 그 때 못지 않게 꽤 길게 진행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그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에 대해서는 "양국이 일정을 조정하고 있으나 늦어질 것 같다"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