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베이징(北京) 북-미-중 3자회담 이후북핵 후속회담 여부를 놓고 진행중인 관련국간 물밑 협의가 진통을 겪고 있다. 북미 양자간 직접협상 보장을 요구하는 북한측 입장과 "더 이상의 3자회담은 없다"면서 후속회담 개최시 최소한 한일 양국이 추가 참여하는 확대 다자회담 개최를주장하는 미국측 입장이 완강히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입장 차이로 북핵 후속회담은 1차 3자회담이 열린지 한달 이상이 지났지만 후속회담 여부 조차 결정하지 못하는 기싸움 형국을 되풀이하고 있다. 북한은 미국의 확대 다자회담 주장이 확고해 보이자 지난달 24일 담화를 통해 "미국이 핵문제 해결을 위한 북미 쌍무회담에 나서면 미국이 원하는 다자회담에 응할것"이라는 조건부 다자회담 수용방침을 밝혔다. 또 지난 1일 에비앙에서 부시 대통령을 만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을 통해 "다자회담 틀 속에서의 북미간 직접대화 기회가 주어진다면 다자회담에 동의할것"이라는 간접적 입장도 전달했다. 그렇지만 후속회담은 계속 가진다는 방침을 사실상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북미간 직접 대화는 있을 수 없다"는 확고한 방침을 거듭 천명하고 있다.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지난달 23일 미일정상회담 이후 "북핵문제를 둘러싼향후 회담은 한국과 일본이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뒤 지난 1일 미중정상회담에서는 `다자회담 틀 속에서의 북미간 직접 대화 병행'에 대해서도 거부했다. 이처럼 상황이 좀처럼 풀리지 않자 우리 정부도 애를 태우고 있다. 우리 정부는 이미 "형식보다는 북핵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목적이 중요하다"는판단하에 "회담의 형식문제 때문에 대화의 전기가 상실돼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정리해 두고 있다. 다시 말해 3자든 5자든 6자든 어떤 형식의 회담이든 간에 원만한 합의를 통해조기에 북핵회담이 계속돼야 한다는 것이 한국의 입장인 셈이다. 어떤 측면에서 우리 정부는 후속회담 형식을 둘러싼 미-북, 미-중간 입장차 속에 끼인 미묘한 입장이라고도 볼 수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북미 양측의 체면을 모두 살릴 수 있도록 3자회담을 한번 더가진 뒤 3차회담부터 5자회담 이상으로 확대하자는 방안 등 여러 아이디어들이 돌파구 마련 차원에서 정부 안팎에서 거론되고 있다. 일단 북미간 합의에 앞서 우선 한.미.일 3국간 후속회담 형식에 대한 합의는 빠르면 오는 12-13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열릴 3국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를 통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이번 TCOG 결과가 주목된다. 정부 당국자는 "이번 TCOG 협의를 통해 가능한 한 회담형식 문제에 대해 공통된입장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3국간 후속회담 형식에 대한 집중적 조율을 벌일 방침을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