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보유와 재처리 선언 이후 핵,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 관련 품목 및 기술의 대북이전 방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감시체제가 대폭 강화되고 있다. 또 북한으로부터 나오는 마약 등 `위험물질'에 대한 감시체제도 강화되는 등 북한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가능성이 있는 위험물질에 대한 국제사회의 감시.봉쇄조치가 잇따라 취해지고 있다. 북한의 벼랑끝 전술에 국제사회가 봉쇄로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독일의 시사주간지 슈피겔지는 19일 "미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화학무기 제조에 전용될 수 있는 독일제 시안화나트륨 30t의 북한행을 독일이 저지했다"고 보도했다. 지난달엔 독일과 프랑스가 우라늄 농축에 필요한 초고속 원심분리기를 제조할 수 있는 알루미늄관 22t의 북한행을 수에즈 운하 통과 직전 저지하기도 했다. 이들 화물은 모두 중국 또는 제3국의 기업이 수입처로 돼 있으나 실제 수입국은 북한으로 추정돼 왔다. 이와 관련, 독일 방첩기관인 헌법수호청(BfV)은 지난 13일 "베를린 주재 북한대사관이 유럽내 북한 정보기관원들의 활동 중심지가 되고 있으며, WMD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장비 반출시도에 연루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대북 금수체제 강화와 관련, 19일부터 23일까지 부산에서 열리는 원자력공급국그룹(NSG) 연례총회가 특히 주목된다. 비공개로 열리는 이번 회의에선 핵보유를 선언한 북한에 대한 핵관련 물품 및 기술의 금수조치 추가 강화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며, 미국 등 서방국가들은 이미 지난해 12월 대북 추가 감시목록을 회원국에 배포했다. 북한의 주요 외화 수입원인 미사일.마약 등의 대외 밀반출 여부에 대해서도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감시 눈길이 번득이고 있어, 국제사회의 대북 봉쇄강화는 실질적으로 북한의 군사뿐 아니라 경제도 옥죄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0일 2천400만달러 상당의 헤로인 50㎏을 밀수하려던 북한 선적 화물선 `봉수호'에 대한 호주의 전격 단속이 그 일례이다. 지난해 12월엔 미국이 예멘으로향하던 북한 미사일 수출선인 `서산호'를 공해상에서 나포한 바도 있다. 이같은 북한 안팎으로의 위험물질 이전에 대한 감시.봉쇄 강화는 베이징(北京) 3자회담에서 북한이 "핵물질을 이전할 수도 있다"고 미국을 위협한 뒤 더욱 강화되고 있어 북한이 스스로 명분을 제공하고 자초한 면이 있다. 북한의 핵, 미사일 추가 확산을 막는 동시에 북한의 현금확보 루트를 봉쇄하자는 다목적용이다. 콘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보좌관은 지난 12일 "북한의 마약 밀매와 미사일 수출을 저지할 방안을 마련중"이라면서 "다른 나라들과 적극 연대해 북한을 좀더 공격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