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경호실장에 40년만에 경찰출신의 김세옥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이 임명됨에 따라 경호실에도 개혁의 바람이 불 것으로 보인다. 김 신임 실장은 3일 발표된 차관급 인사중 유일하게 노 대통령이 직접 낙점한 인물. 정찬용 청와대 인사보좌관은 이날 "노 대통령이 '내 신변을 지켜주는 사람인데 내가 직접 정해야하지 않겠는가'라면서 직접 인선했다"고 인선배경을 설명했다. 대통령 경호실장은 박정희 정권 이후 줄곧 군 출신이 맡아왔다. 63년12월 대통령 경호실법 제정 이래 경호실장 11명중 10명이 군장성 출신이었다. 다만 김영삼 정권시절 제9대 박상범 경호실장의 경우 공채출신의 '경비통'으로 유일한 민간인 신분이었다. 63년 이전에는 경무대(구 청와대)내 경찰서에서 대통령 경호업무를 담당했다. 경호실측은 수장이 경찰출신으로 교체됨에 따라 처장 이상 고위급중 일부는 물갈이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찬용 인사보좌관은 이날의 인선이 "문민화의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경호실 직원들은 "이런 인사배경 속에는 상당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한 직원은 "대통령 경호의 특성상 경찰의 지원을 받아야 하는 일이 90% 이상"이라면서 "종래에는 뭐든지 상부에서 지시만 하는 일방통행식이었는데 앞으로는 불합리한 부분이 많이 개선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경호실이 다시 태어나는 계기가 돼야 할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그는 "청와대가 대통령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경호실을 위해 존재한다는 지적이 없지 않다"면서 "철저한 경호를 하면서도 대통령이 국민들과 먼 곳에 있지 않다는 느낌을 주는 경호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호실측은 "김대중 전 대통령 시절부터 '국민과 함께 하는 경호'라는 구호아래 권위주의나 폐쇄적 문화를 탈색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김병일 기자 kbi@hankyung.com